중국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에 중국어와 한국어 간에 차이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친다. 그 중에 하나가 피동표현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피동표현은 숙달도 ...
중국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에 중국어와 한국어 간에 차이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친다. 그 중에 하나가 피동표현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피동표현은 숙달도 등급 중급단계의 목표문법으로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한국어 피동표현에 대한 논문은 여러 가지가 있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피동표현에 대한 교수 방안도 많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논문들은 거의 한국어를 공부하는 전체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구되는 것들이며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한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자들과 비교하면서 중국 국내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중국 국내 대학에서 한국어 피동표현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용 피동표현을 유형에 따라 위계화 하고 이를 중국어와 대조하여 한국어 피동표현의 기능과 특징을 밝힘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피동표현 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한·중 양국어의 피동표현을 형태론적, 의미론적, 통사론적 관점에서 대조 분석하여 두 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았다. 한국어의 여러 가지 피동표현은 통사적 구조의 면에서 중국어의 ‘被字文’과 간단하게 일대일로 대응할 수 없었다. 문형 ‘N1이+N2이+피동사’ 이외에 대부분 파생적 피동표현은 잘 대응되는 중국어 ‘被字文’이 존재한다. 통사적 피동표현 중에서 대부분의 ‘-아/어지다’에 의한 피동표현은 대응되는 ‘被字文’이 있지만 ‘-게 되다’에 의한 피동표현은 대응되는 ‘被字文’이 없었다. 어휘적인 피동표현 중에서 대부분의 ‘되다’, ‘당하다’에 의한 피동표현은 중국어의 ‘被字文’과 잘 대응되는 반면 ‘받다’에 의한 피동표현은 ‘被字文’과 거의 대응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피동문과 관련하여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한국에서 편찬한 교재는 서울대, 연세대, 이화대, 경희대, 고려대의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중국 국내에서 편찬한 교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에서 제일 많이 쓰고 있는『韓國語敎程』,『韓國語』,『大學韓國語』,『標準韓國語』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의 교재는 ‘과제 중심’의 특징이 있는 반면 중국의 교재는 ‘문법 중심’의 특징이 있다. 중국 국내 대학의 교재는 피동표현에 대한 설명과 해석이 더 자세하며 전반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피동표현 문법항목에 대한 제시 방식이 천편일률적이어 학습자들에게 배움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쉽지 않다. 또한 연습 활용의 형식이 부족한 점도 지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 이 연구는 중국 국내 대학 2학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피동표현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앞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제시- 훈련 모형을 기본으로 하고 제시-연습-생산 단계 전후에 도입과 마무리의 두 단계를 두고 즉, 도입, 제시, 연습, 사용, 마무리의 다섯 단계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