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결혼이주여성의 정보격차 경험과 정보추구행태에 따른 생활태도 차이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생활에서 정보부족을 경험하는지, 정보부족경험으로 인해서 한국생활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선호하는 정보원은 어떤 것인지, 정보추구행태차이가 있는...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생활에서 정보부족을 경험하는지, 정보부족경험으로 인해서 한국생활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선호하는 정보원은 어떤 것인지, 정보추구행태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산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총 배부된 설문지는 150부로 이중 141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한국어 설문의 이해가 어려운 일부 결혼이주여성들에게는 직접면접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거나 다문화센터의 통역이 가능한 직원의 협조를 받아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출신국가별, 국내 거주기간별, 학력별, 그리고 한국어 수준 정도에 따라 정보격차 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격차의 경험여부에 따라 응답자들은 현재 자신들의 한국생활을 평가하는 태도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정보격차의 경험은 한국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형성, 정신적 스트레스, 인생에 대한 만족도, 미래에 대한 기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 격차의 경험은 한국 생활에서의 자존감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로 도움을 요청하는 정보 추구의 대상에 따라 응답자들의 한국생활에 대한 태도는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정보원에 따른 한국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정신적 스트레스, 자존감, 인생에 대한만족도, 미래에 대한 기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원에 따라 한국 생활에 대한 행복감 형성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격차의 경험 여부에 따라 응답자들의 한국어 능력에 대한 주관적 판단에 대한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듣고 말하기의 경우 정보부족 경험여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읽고 쓰기의 경우 정보부족 경험여부에 따라 비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격차 경험 여부에 따라 응답자들이 추구하는 정보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정보부족경험이 있는 집단과 정보부족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필요한 정보의 종류 비교는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부족경험과 관계없이 결혼이주여성들이 필요하고 찾는 정보는 한국어, 컴퓨터 교육, 한국요리 등 한국생활에 필요한 교육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 집단 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섯째, 필요정보에 따라 응답자들의 정보추구 대상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필요로 하는 정보와 선호하는 정보원의 집단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컴퓨터교육, 한국 요리 등 한국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육아 및 자녀교육, 모국에 대한 정보는 인적정보원에 주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과 다문화지원정책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은 모국을 떠나 낯선 한국생활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컴퓨터교육, 한국음식 등의 기본적인 생활교육이 가장 필요한 정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주변의 인적정보원을 통해서 획득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고 정보부족으로 인한 정보격차는 한국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정보원으로서의 도서관은 다른 정보원에 비해 선호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whether or not immigrant women in Korea have experience information gap, how much this gap affects their life in Korea, which sources of information they prefer, and how different the types of information they seek. T...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whether or not immigrant women in Korea have experience information gap, how much this gap affects their life in Korea, which sources of information they prefer, and how different the types of information they seek.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attitude test in which the immigrant women in Korea evaluated their Korean life, they responded that their experience about the information gap caused their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Korea, mental stress, satisfaction to their life, expectations for their future. On the other hand, this gap didn't have any effect on their self-esteem of living in Korea.
Secondly, the respondents who have actively appealed to help for information told that the sources of information didn't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in Korea, mental stress, self-esteem, expectations for the future. However, the source of information depended on forming their happiness.
Thirdly, looking at their subjective judgments on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listening and speaking did not have effects on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ho have experienced in information gap and the other group who have not experienced wherea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mad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urthly, reflecting on the results that which type of information the respondents seek, it was impossible to compare between the group who has experienced on information gap and the other group who has not experienced.
Lastly, results of target information respondents seek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terms of needed information and preferred sources of information.
This study proved that immigrant women need basic education such as Korean language programs, computer lessons, cooking classes for Korean foods. Also, they prefer acquiring knowledge from peripheral sources of information around their life. Information gaps caused their satisfaction to their Korean life. Few respondents preferred the library as a source of information. To solve this problem, libraries need to offer multi-cultural materials in various languages, improve access to libraries, and provide services with their children and families. Moreover, they should avoid recursive services but actively promote library program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