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은유를 중심으로 한·중 양국 심리의태어의 은유적 특징을 연구한다. 『우리말 의성의태어 분류사전』을 기준으로 세우고 사전의 분류에 따라 심리의태어는 <가슴>과 관련된 의...
본고는 은유를 중심으로 한·중 양국 심리의태어의 은유적 특징을 연구한다. 『우리말 의성의태어 분류사전』을 기준으로 세우고 사전의 분류에 따라 심리의태어는 <가슴>과 관련된 의태어, <감정>과 관련된 의태어, <기억이나 의식>과 관련된 의태어, <느낌>과 관련된 의태어, <마음>과 관련된 의태어, <생각>과 관련된 의태어, 그리고 <정신>과 관련된 의태어 7가지로 나눈다.
먼저 한국어 심리 의태어와 대응할 수 있는 중국어 낱말을 제시한 다음에 양국 심리의태어의 은유적 특징을 살펴본다.
<가슴>과 관련된 한국어 의태어는 모두 존재론적 은유 표현과 방향적 은유 표현으로 해석되며, 주로 일반 사물이나 용기로 빗댄 사물화한 은유 표현이다. 중국어보다 더 다양한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감정>과 관련된 한국어 의태어는 모두 존재론적 은유 표현과 방향적 은유 표현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들과 대응하는 중국어 낱말은 존재론적 은유 표현과 방향적 은유 표현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기억이나 의식>과 관련된 한국어 의태어는 모두 시각화한 은유 표현에 해당한다. 이들과 대응하는 중국어도 시각화한 은유 표현에 해당한다. 여기서 중국어가 한국어보다 더 다양한 감각을 활용해서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고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기억이나 의식'은 움직임이 없다고 본다.
<느낌>과 관련된 한국어 의태어 그리고 중국어 의태어가 모두 촉각화한 존재론적 은유 표현에 해당하며 방향적 은유 표현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양국 의태어의 은유적 특징은 같다고 본다.
<마음>과 관련된 한국어 의태어는 모두 존재론적 은유 표현에 해당한다. 이들과 대응하는 중국어는 존재론적 은유 표현에 해당하지만 방향적 은유 표현에 해당하지 않는다. 여기는 양국 의태어의 방향성이 모두 확실히 드러나지 않는다.
<생각>과 관련된 한국어 의태어는 모두 존재론적, 방향적 은유로 해석된다. 이들과 대응하는 중국어는 존재론적 은유와 방향적 은유로 해석되는 낱말은 각 1개만 있다. 중국어에서 '생각'이라는 개념은 한국어처럼 활동적이지 못하고 은유적 의미가 드러나지 않는다.
<정신>과 관련된 한국어 의태어는 존재론적 은유 표현으로 해석되며 방향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이들과 대응하는 중국어는 은유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