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writing assessment template that not only objectively measures writing competence but also practically improves writing ability of a student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While present Korean language w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writing assessment template that not only objectively measures writing competence but also practically improves writing ability of a student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While present Korean language writing instruction focuses on process-oriented writing assessment, assessment is rather performed on a writing that is produced within certain time limitation. As such, writing assessment in its current form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result-oriented. Result-oriented writing assessment fails to fully integrate the process-oriented writing instruction and simply acts as a nominal conclusion to an instruction course. The need to develop a writing assessment template that positively integrates and constructively affects the process-oriented instruction is imperative.
It is against such need that a method to bridge the disconnect between process-oriented instruction and result-oriented assessment was developed. The new template focuses on performing assessment that befits both the form and content during which process-oriented writing instruction is performed. The ultimate aim of writing instruction is predicated on assertive writing, and writing assessment template commensurate with such aim was developed. Assessment performed at each stage of writing instruction looks to assess whether quint essential components are included in the written material. It is through this detailed process-oriented assessment that a student’s writing characteristics and deficiencies are uncovered, which in turn are utilized to help improve and augment a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at the next writing instruction level.
Delving further, the process of writing asessment is subdivided into four stages of ideation, content organization, rough draft, revision, and assessment stages are also set to reflect those writing stages. Assessment criteria for each stage were ascertained through analysis of theories on assessment of assertive writing and of written materials that were administered as preliminary step. The objectivity of ascertained assessment criteria were further verified through assessment by and consultation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ion professionals.
Based upon this model, experimental instructions were performed. As an introduction, writing activities and assessment methodology were explained, followed by a lecture on assertive writing. As a final step, assessment assignment was presented. The written materials were evaluated by four stages of ideation, content organization, rough draft, revision, in accordance with the assessment criteria. After assessment, the class concluded by students reading each others’ evaluated written materials.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have shown that process-oriented writing assessment model not only objectively measures a student’s writing ability but also substantially improves it. In addition, soundness and reliability of the template were achieved by applying objective assessment criteria on instructed content and form. The most significant result of process-oriented writing assessment is the fact that students become active participants in writing instruction, are able to discern their shortcomings, and enhance writing skills.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정 내에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쓰기 능력의 발달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쓰기 평가를 구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어 쓰기 교육...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정 내에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쓰기 능력의 발달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쓰기 평가를 구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어 쓰기 교육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데 반해 평가는 제한된 시간 안에 산출되는 쓰기의 결과물에 대해 이루어짐으로써 결과 중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평가가 교육과 통합되지 못하고 교육을 마무리하는 역할만을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 연계되어 쓰기 교수·학습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평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쓰기 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기반으로 하여 쓰기 교육이 진행되는 중에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을 구안하였다. 이때 한국어 쓰기 교육의 최종 목표를 논설문 쓰기로 보고 논설문에 한정하여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는 쓰기의 단계마다 산출된 쓰기 결과물이 해당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상세히 측정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단점을 다음 단계에서 보완하도록 함으로써 글의 완성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에 쓰기의 과정을 내용창안 단계, 내용조직 단계, 초고쓰기 단계, 고쳐쓰기 단계의 네 단계로 나누어 평가의 단계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논설문의 평가 및 과정 중심 쓰기 교육과 관련하여 이론을 고찰하고 예비적으로 실시한 쓰기 평가를 통해 수합한 쓰기 결과물을 분석하여 논설문 쓰기의 단계별 평가 준거를 가정하였다. 이는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협의와 평정을 통해 객관적인 검증을 거쳐 논설문 쓰기의 단계별 평가 준거로 설정되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평가 준거를 적용하여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모형을 설계하여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도입으로 간이수업을 통해 쓰기 활동과 평가에 관한 안내를 하고 논설문의 특성을 교수하였으며 평가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후 내용창안 단계, 내용조직 단계, 초고쓰기 단계, 고쳐쓰기 단계에 걸쳐 각 단계의 쓰기 결과물을 쓰기의 단계별 평가 준거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후에는 학습자들이 완성된 글을 서로 돌려 읽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실험 수업을 통하여 과정 중심 쓰기 평가가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상세하게 측정함은 물론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됨을 밝혔다. 또 과정 중심 쓰기 평가는 교육된 바를 평가함으로써 평가의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객관적인 평가 준거를 적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더불어 평가를 통해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쓰기 교육에 참여하게 되었고 자신의 쓰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