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휘의미론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어와 현대 중국어 감각형용사의 하위류로 분류되는 촉각형용사의 의미구조를 분석하는 동시에 그것들이 가지는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본 연구는 어휘의미론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어와 현대 중국어 감각형용사의 하위류로 분류되는 촉각형용사의 의미구조를 분석하는 동시에 그것들이 가지는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한·중 촉각형용사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 국어국립연구원 편 『현대 국어 사용빈도 조사』와 中國國際廣播社 편『現代漢語形容詞辭典』을 찾아 봤다. 한국어 촉각형용사 경우는 사용 빈도수가 있는 어휘가 70개 있고 중국어의 경우는 47개 있다. 이것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제3장에서 위에서 선택된 어휘의 의미구조 특히 동의어 의미장에 대해 고찰했다. 사전에서 동의어의 해석은 보통 교체방법으로 설명한다. 그렇지만 이런 해석방법은 각각의 동의어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본고는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의미 연구의 대표적인 분석방법 즉, 성분분석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촉각형용사의 의미장 구조를 뚜렷하게 확인하였다. 따라서 그것들의 공통점과 미묘한 차이점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4장은 3장의 기초 위에 촉감각형용사를 촉감각형용사와 온도각형용사 및 통각형용사 3가지로 나누고 각각 갈래마다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앞의 3개 단어와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를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분석을 통해서 한·중 촉각형용사를 종류별로 3갈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기본의미와 전이의미가 같은 것들, 두 번째는 기본의미는 같고 전의의미가 일부 다른 것들, 세 번째는 기본의미가 같고 전의의미는 다른 것들이다. 그리고 기본의미가 같고 전이의미가 일부 다름과 완전히 다른 상황에서 한국어 촉각형용사의 전이의미가 중국어 촉각형용사의 전의의미 수량보다 더욱 많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 ‘덥다, 춥다’가 대응하는 중국어 ‘ 熱, 冷’보다 전의의미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이 제3장에서 한국어 ‘덥다, 춥다’와 중국어 ‘ 熱, 冷’의 사용 빈도수 차이를 만든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한·중 촉각형용사의 대조 연구에 있어서 관용표현에 대해서는 자세한 고찰을 다루지 못한 것이 부족한 부분이다. 이를 비롯한 미지한 부분에 대한 고찰은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삼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emantic understanding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which is 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moder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t the same time, focused on clarifying the difference and likeness from a lexical semantic 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emantic understanding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which is 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moder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t the same time, focused on clarifying the difference and likeness from a lexical semantic perspective.
We looked into frequency in use of modern Korean edi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djectives in modern Chinese Dictionary edited by China international broadcasting service to consider meaning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in Korea and China. About 70 words are frequently used for touch sensation adjective in Korea and 47 words in China. We conducted a survey of these.
On the third chapter, we analyse the semantic structure, especially about synonymous semantic field. The synonyms is usually interpreted by alternate ways in a dictionary. But this kind of interpretational way is hard to explain delicate difference in each synonyms. This study progresses component analysis so that the semantic field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are identified clearly. Therefore we can clearly understanding difference and likeness.
Based on the third chapter, touch sensation adjectiv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emperature sensation adjective, pain sensation adjective and pressure sensation adjective on chapter four, anf choose Chinese corresponded with 3 words which is frequently used in each parts. By analysis, Korean and Chinese touch sensation adjective can be divided into 3 parts. The first is which are common in basic and transferred meaning. The second is which are same in basic meaning but different in transferred meaning. The third is which are different in transferred meaning but same in basic meaning. When basic meaning is same and transferred meaning is different partially and entirely, Korean transferred meaning of touch sensation adjective is more than that of Chinese. However, Korean transferred meaning of '덥다', 춥다' is much less than Chinese transferred meaning. It is maybe responsible for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덥다', 춥다' in Korean and '热', '冷' in Chinese. But in this study, we didn't investigate the idiom by the contrastive study. Including this, study of other insufficient parts are next subject of a researc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