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분석을 통해서 본 한국어 문화 교육의 실제 및 발전 방향 : 일반목적 한국어 초급 교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용 교재에 포함된 문화 교육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현시점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

본 연구는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용 교재에 포함된 문화 교육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현시점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주요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한 교재 분석틀을 활용하여 문화 요소를 분석하였고 교재 내 제시 방법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본격적으로 논의의 대상이 된 것은 1990년대 중반즈음으로 보인다.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많은 교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 교재가 교수 학습 대상의 문화요소를 적절히 선정하고 효율적인 교수 방법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선행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정하고 대상 교재를 분석하였다. 다만 연구 범위의 방대함을 고려하여 일반 목적 초급 단계 학습자용 교재에 국한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선행연구와 문화 교육의 방법과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 교육의 개념과 문화 교육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내에서 다루어지는 문화 교육의 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한 교재 평가 항목 등을 토대로 재구성한 기준으로 교재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교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내에서 나타나는 문화 교육의 보완점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교재 분석에 따른 논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연구와 관련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y of culture education in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xplore development measures by analyzing cultural educational elements contained in textbooks for non-native Koreans learning the b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y of culture education in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xplore development measures by analyzing cultural educational elements contained in textbooks for non-native Koreans learning the basic level Korean language. For that, this study analyzed the cultural elements by using the 'textbook analytical frame'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in relation to major textbooks that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and furthermore, looked into the methods presented within textbooks.
Generally, it seems to be mid 1990s that cultural education became a topic of full-fledged discuss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n,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vigorously thus far, and many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whi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sites. However, there might be disagreement in relation to whether those textbooks properly selected the cultural elements for the teaching-learning objects and were presented as the method which could ensure efficient teaching approach.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ies in preceding studies, on which basis the analytical frame was set to analyze the concerned textbooks. However, the analysis was limited to general-purpose textbooks designed for the learners of basic level Korean language, considering the vast scope of this study.
This consists of the followings:
Chapter 1 described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presented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study. In addition, it presented the review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method of cultural education, along with the review of preceding studies that presented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Chapter 2 presented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al education covered in the Korean textbook based on the discussion pertaining to the concept of cultural education and discussion of cultural education.
Chapter 3 presented the analysis of textbooks based on the criteria restructured based on the textbook evaluation items which were discussed in the existing studies.
Chapter 4 presented possible improvement points of cultural education and direction for development as manifested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extbooks.
Finally, Chapter 5 presented the opinion related to the study by sorting out the discussions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book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