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난 자기수정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nd examine self-repair us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communicate according to its type and function. It also examines whether self-repair is used differently by them and native speakers, and whether its ch...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nd examine self-repair us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communicate according to its type and function. It also examines whether self-repair is used differently by them and native speakers, and whether its characteristics change depending on the interlocutor.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I divided self-repair types into overt and covert repair and examined them. The native Chinese speakers used both overt and covert repair more than native Korean speakers. As non-natives, Chinese speakers naturally make more mistakes than native Korean speakers. They use overt repair more and also require relatively more time to prepare their speech which results in extensive use of covert repair. In case of overt repair, the Chinese speakers used ‘content word substitutions’ and ‘pronunciation substitutions’ more than native Korean speakers. In case of covert repair, the Chinese speakers were unlikely to use ‘conjunctions’, except for ‘again’. When the interlocutor is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inese learners used overt repair in their convers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less than when speaking to other Chinese speakers. The use of ‘recursive insertion’ was particularly low. In case of native Korean speakers, they used more ‘content word substitutions’ in their conversation with the Chinese speakers but also fewer ‘function word substitutions’. When it comes to covert repair as a whole, the difference proved to be insignificant. When different self-repair types are considered, the Chinese speakers used ‘partial repetitions’ in convers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less than when speaking to other Chinese speakers. In comparison with the Chinese speakers, the native Korean speakers used ‘conjunctions’ less and ‘hesitation’ and ‘partial repetitions’ more when speaking to other native Korean speakers than in their conversation with the Chinese speakers.
I examined functions of self-repair too. The Chinese speakers generally used self-repair functions more than native Korean speakers. In comparis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e Chinese speakers used ‘information correction’, ‘information deletion’, ‘content addition’, ‘time earning’, ‘expressing in other words’ and ‘emphasized check’ more and ‘content connection’ less. When it comes to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terlocutor, the Chinese speakers used self-repair functions in their convers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less than when speaking to other Chinese speakers. In case of specific functions, ‘content deletion’ and ‘content connection’ were used more while ‘time earning’ and ‘double check’ less in a conversation between Chinese speakers than when speaking to native Korean speakers. The native Korean speakers used self-repair functions in their conversation with Chinese speakers more than when speaking to other native Korean speakers. In their conversation with Chinese speakers the native Korean speakers used ‘information correction’, ‘content connection’, ‘content addition’ and ‘emphasized check’ often, and ‘content deletion’ rarely.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examined self-repair used by Chinese speakers in their convers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according to its type and function. It also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elf-repair depending on the interlocutor. The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self-repair use patterns after task execution.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어떠한 자기수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유형별, 기능별 분류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자기수정의 사용 양상이 한국어 ...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어떠한 자기수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유형별, 기능별 분류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자기수정의 사용 양상이 한국모어 화자와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대화 상대자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자기수정의 유형을 외적수정과 내적수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서 중국인 학습자는 외적수정과 내적수정 모두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는 비원어민이기 때문에 대화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많은 오류를 생산하므로 외적수정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발화 계획에 있어서도 중국인 학습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내적수정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외적수정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내용어 대체’나 ‘발음 대체’를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서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내적수정에서는 ‘또’ 이외의 ‘접속표지’를 중국인 학습자가 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 상대자에 따른 비교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는 중국인 학습자 간의 대화에서보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대화에서 외적수정을 더 적게 사용하였는데, 특히 ‘삽입 반복’이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중국인 학습자와의 대화에서 ‘내용어 대체’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기능어 대체’의 사용이 적게 나타났다. 내적수정에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중국인 학습자 간의 대화보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대화에서 ‘부분 반복’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에는 중국인 학습자와의 대화에서 ‘접속표지’를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대화에서보다 적게 사용하고, ‘머뭇거림’, ‘부분 반복’은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정의 기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전체적으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서 더 많은 자기수정 기능을 사용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서 ‘정보 수정’, ‘정보 삭제’, ‘내용 보충’, ‘시간 벌기’, ‘바꿔 말하기’ 그리고 ‘강조 확인’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용 연결’은 적게 사용하였다. 대화 상대자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로는,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대화에서 자기수정 기능을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능별로 살펴보면, ‘정보 삭제’, ‘내용 연결’은 중국인 학습자 간의 대화에서보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대화에서 더 많이 나타났으나, ‘시간 벌기’와 ‘강조 확인’은 적게 나타났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중국인 학습자와의 대화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대화에서보다 자기수정 기능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중국인 학습자와의 대화에서 ‘정보 수정’, ‘내용 연결’, ‘내용 보충’, ‘강조 확인’을 많이 사용하였고, ‘정보 삭제’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 과정에서 나타난 자기수정을 유형별, 기능별로 살펴보았으며, 대화 상대자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차후 연구에서는 과제수행 후에 나타나는 자기수정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