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형용사는 복합한 형태와 통사구조, 유의어, 다의어 등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품사 중 하나이다. 거기에다 한국어와 러시아어 형용사는 각각 동사의 성격을 가지는 동사성 ...

한국어 형용사는 복합한 형태와 통사구조, 유의어, 다의어 등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품사 중 하나이다. 거기에다 한국어와 러시아어 형용사는 각각 동사의 성격을 가지는 동사성 형용사와 명사의 성, 수, 격을 따르는 명사성 형용사로 서로 다른 유형에 속하기 때문에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형용사를 학습하기가 쉽지 않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언어의 형용사를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자료가 많지 않으며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아직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한국어와 러시아어 형용사를 형태·통사·의미적 관점에서 대조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형용사 기술 양상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형용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에 해당하는 2장에서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에서 형용사를 어떻게 정의내리고 있는지 살펴보고 두 언어의 형용사의 특징을 형태·통사·의미적 관점에서 대조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와 러시아어권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형용사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역시 형태·통사·의미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여 교재에 나타난 전반적인 형용사 제시 양상과 문제점, 분석 결과의 활용 및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교재에 따라 한국어 형용사를 러시아어 형용사와 비교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대조언어학적 관점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두 언어 형용사의 특징이 반영되었다 하더라도 정확하지 않은 기술로 인해 오히려 학습자에게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는 경우도 다수 발견되었음을 감안할 때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좀 더 체계적인 대조언어학적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형용사 교육을 하기 위한 방향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나 동시에 많은 한계점도 가진다. 하나의 관점에 천착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과 실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형용사 사용 오류 양상과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의 형용사 학습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을 확인하지 못한 점, 국내외에서 출판된 일부 초・중급 교재를 대상으로 한 부분적인 연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는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해야 할 부분이다.

Korean adjectives are a part of speech which is difficul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learn because they have many synonyms and polysemic words as well as complex forms and syntax structures. Moreover, as Korean and Russian adjectives are catagor...

Korean adjectives are a part of speech which is difficul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learn because they have many synonyms and polysemic words as well as complex forms and syntax structures. Moreover, as Korean and Russian adjectives are catagorized as verb-adjectives and noun-adjectives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Russian-speaking learners may find difficulty with learning Korean adjectives. Ye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adjectives of the two languages done from a contras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there is no study made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n effective education of Korean adjectives by performing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Russian adjectives. In chapter 2 which corresponds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thesis, how the Korean and Russian adjectives are defined was checked and contrastive analysis of the adjectives of the two languages was carried out in terms of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In chapter 3, the contents and method of teaching Korean adjective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Russian-speaking countr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And in chapter 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iled. And on these grounds, the aspects and the problems of Korean adjectives presentation, applic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and future research subjects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textbooks, some textbooks compared and contrasted Korean and Russian adjectives and intended to help the learners learn Korean adjectives easier. But there were textbooks where a contras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was not presented at all. Even if the adjectiv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s, incorrect descriptions were likely to confuse to learners. Given the respects above, more systematic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roughly suggested the direction intended to teach Korean adjectives effectively. But it also has several limitations as follows. Firstly, this is not the research which dug into its subject from one perspective. Secondly, it didn't analyze their use and error aspects of Korean adjectives on Russian-speaking learners and the cause of errors they make. It didn't check the difficulties they might face in the process of adjective learning, either. Lastly, it is just a sectional study of some prim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complement the limits of this study.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