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한국의 EFL학습자들에 의한 영어 처소 구문의 습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처소 동사(locative verbs)의 획득은 학습 용이성 문제 해결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이 점에서 여러 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많은 연구자들은L...

처소 동사(locative verbs)의 획득은 학습 용이성 문제 해결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이 점에서 여러 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많은 연구자들은L1 및 L2 학습자들에게 영어 처소 교체(locative alternation)의 습득을 조사 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같지 않은 언어 배경을 가진 EFL(English Foreign Language) 학습자들에 의한 영어 처소 교체 습득의 유사점과 차이점를 해결해 보고 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한국의 EFL학습자들에 의한 영어 처소 구문의 습득을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목표는 중국한국의 EFL학습자들이 각각 영어 처소 교체의 지식을 획득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들의 언어보편적인과 언어특정한 속성들을 취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그리고 두 그룹은 영어 처소 동사의 습득 과정 중에 L1전이효과(L1 transfer effect)가 있는지 없는지 탐구한다. 이러한 질문의 해결을 통해 같지 않은 언어 배경을 가진 EFL학습자들 간의 독특성을 발견 할 수 있도록 예상한다.
Ⅱ장에서 영어 처소격 교체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한 후에는 Pinker (1989)에 의해 제안된 학습 용이성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로 전환하였다. Pinker는 아이들이 의미론적인 기준들을 사용하여 교체 규칙의 적용하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 기준들은 바로 넓은 범위의 규칙(broad-range rules)과 좁은 범위의 규칙(narrow-range rules) 이다. 둘째, 영어 처소 교체에 대한 수집된L1 및 L2습득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주요 연구결과와 논쟁초점을 평가하였다. 셋째, 처소 동사 의미기반 연결원리의 교차언어적인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일반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중국어와 한국어에 나타나는 처소격동사의 구문패턴을 각각 탐구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이론적-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위해 필요한 연구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피험자정보, 실험 도구로 사용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 관해 설명하였다. 또한 분석 자료 수집 과정과 수집한 자료의 분석 절차, 자료의 분석에 사용한 통계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그리고 Ⅴ장은 본 연구의 마지막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발견하였다.
가. 중국과 한국 EFL 학습자들은 모두가 영어 처소 교체 습득에 대한 넓은 범위의 의미제약규칙 특히 전체효과(holism effect)를 취득했다.
나. 중국과 한국 EFL 학습자들은 모두가 좁은 범위의 규칙을 부분적으로 습득했다. 두 그룹중에는 모든 학습자들이 네이티브와 같은 지식과 능력에 도달하지 못했다.
다. 두 그룹에는 교체될 수 없는 이동처구문(예: fill-type)에 대한 L1전이효과만이 발견되었다.
라. 제2언어습득을 어렵게 만들 수 있는 4 가지 요인이 발견되었다. 그 요인은 넓은 범위 의미규칙의 오용, 제한된 좁은 범위 규칙의 지식, 모국어의 부정적인 전이효과, 불충분 언어 입력빈도 이다.

The acquisition of English locative verbs has proved to be a good example to address the learnability issue. This topic has been the research interest for many scholars, but the research findings are different and controversial. Moreover, much researc...

The acquisition of English locative verbs has proved to be a good example to address the learnability issue. This topic has been the research interest for many scholars, but the research findings are different and controversial. Moreover, much research has been devoted to investigating how L1 or L2 learners acquire English locative constructions; however, up to now, there is a lack of ed studies that specially addre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inguistic groups of EFL learners in terms of the acquisition of English locative construc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acquisition of English locative verbs was dealt with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by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wo different linguistic groups: the Chinese and Korean EFL learners. The primary goals of this dissertation were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Chinese and Korean EFL learners acquired knowledge of the English locative alternation respectively,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EFL learners in acquiring language-universal properties (Broad-Range Rules) and language-particular properties (Narrow-Range Rules), and to explore whether there were L1 transfer effects in the acquisition of English locative verbs by both groups. Through addressing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expected to discover what was truly unique among EFL learners from different linguistic backgrounds.
In Chapter 2, the researcher first reviewed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locative alternation and then turned to the theory suggested by Pinker (1989) which claimed that children constrained the application of the alternation rules using semantic criteria: broad-range rules and narrow-range rules. Second, the researcher reviewed the major L1 and L2 acquisition studies on locative alternation, evaluating the main findings as well as the focus of controversy. Thirdly, the researcher explored respectively the syntactic pattern of locative verbs in both Chinese and Korean in order to get a general idea of cross-linguis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emantics-syntax correspondences of locative verbs. Lastly, the theoretical-conceptual framework of the present study was described.
Chapter 3 dealt with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and research instruments in the study were introduced; then testing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methods were described.
The main result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data, the present research found that: a) both Chinese and Korean EFL groups had acquired the broad-range semantic constraint, the holism effect of English locative verbs; b) both Chinese and Korean EFL learners had acquired a partial or limited knowledge of narrow range rules and had not reached a native-like proficiency; c) for both groups, L1 transfer effect was only found with non-alternating location verbs (such as fill); and d) four factors were found to overburden the foreign 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misapplication of broad-range semantic rules, the limited knowledge on narrow-range rules, the negative L1 transfer, and the insufficient input frequency.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