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동화 구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연구 : 초중급 과정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Korean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il Narration -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on basic·intermediate level courses - Ok-hwa Park Professor of Teachih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Korean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il Narration
-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on basic·intermediate level courses -

Ok-hwa Park


Professor of Teachih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ye-ryeong Shim ph. D.)


This research aims not only to enhance under of Korean culture, but also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mooth communication targeting married immigrant woman by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 narration. Also,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in childhood education, 쇧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directions in education 시 form the identity and background knowledge as well as to provide a message of the cultural contents and elements inherent in traditional fairy tales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hapter I suggests that a teaching method that utilizes traditional fairy tales in the clas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s an effective way of delivering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owards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taking basic·intermediate Korean language courses. The appropriat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will be verified through preceding studies.
Chapter Ⅱ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he actual class condition, real language and textbooks, and also the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ir characteristics for married migrant women. This provides the base of the teaching method for a traditional fairy tale narration class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s different from a teaching method using fairy tale narration for children.
Chapter Ⅲ investigates traditional fairy tales, the concept of fairy tale narration, means of narration,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fairy tales. For this purpose, cultural concept, category, and the scope required for the selection of cultural education contents are regulated and suggested. This research will affirm the characteristics, methods of fairy tale narration, and the educational values of fairy tale narr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using methods based on the cultural contents and element.
Chapter Ⅳ determines correlativity between traditional tales and fairy tale narration since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oral literature and fairy tale narration. It looks into standards of traditional fairy tale selection and traditional fairy tales curr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is also aims to adopt textbook contents of traditional fairy tales based on cultural elements and cultural education required for married immigrant women on the basis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is chapter also will reconstitute cultural education text through selected traditional fairy tales and suggest a cultural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guide.

The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earch to present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 and to propose further resear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bines Korean language and traditional fairy tale narration to suggest using one of the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연구는 전래동화구연을 활용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한국 문화의 이해력을 증진시킴은 물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

연구는 전래동화구연을 활용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한국 문화의 이해력을 증진시킴은 물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자녀교육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전래동화에 내재된 문화내용과 요소를 이해시키고, 정체성 및 배경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어와 전래동화를 접목하여, 전래동화 구연을 통한 문화교육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화 언어적 특징과 문화내용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Ⅰ장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에서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수법이 초·중급 과정 대상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 전달 및 한국어 교육에 효과적 방향임을 제시하고, 이를 선행 연구를 통해 적정성을 검증받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한국어특징과 수업실태, 언어실태와 교재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 아동의 동화구연 수업방식과는 다른 한국어 교육에서의 여성결혼 대상의 전래동화 구연 수업방식의 기반을 마련한다.
Ⅲ장에서, 전래동화, 동화구연의 개념과 구연방법, 교육 가치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교육 내용 선정에 필요한, 문화 개념, 범주, 영역을 정리하고 제시하려 한다. 그리고 이 문화 내용과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동화구연의 특징, 방법, 교육적 가치에 대해 밝히고 활용 기반을 마련토록 할 것이다.
Ⅳ에서는 전래동화가 구비문학 및 구연동화와 공통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므로 전래동화와 동화구연과의 상관성을 밝히고, 전래동화의 선정기준,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의 전래동화 수록 현황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를 토대로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요구되는 문화요소와 문화교육에 기반을 둔 전래동화 구연 교재내용과 방안을 선정하려 한다. 아울러 선택된 전래동화를 통해 문화교육 텍스트로 재구성하고, 문화교육 교수-학습 지도안을 도한 제시할 것이다.
Ⅴ장에서는 결론으로 이제까지의 연구를 정리하고, 논문의 한계점과 의의,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동화구연을 접목하여 한국어 교육의 다양한 방법의 하나로 시도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