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세계화와 개방화에 따라 경제·사회적 인구이동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한국사회도 국제화, 세계화 시대를 맞아 국제결혼 증가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
현대 사회는 세계화와 개방화에 따라 경제·사회적 인구이동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한국사회도 국제화, 세계화 시대를 맞아 국제결혼 증가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 하고 있다.
조선족은 한국인과 언어와 생활습관이 비슷하고 민족의 동질성으로 인해 결혼이주여성들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조선족 결혼이주여성들은 결혼이주 후 한국어와 한국생활에 빨리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비교적 쉽게 취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취업경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에 대한 연구 대상으로서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이 적합하다.
본 연구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고 전문직에 취업한 경험이 있는 조선족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취업경험에 대한 의미를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며 전문직에 취업한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으로 수집한 자료를 사례연구법에 의해 취업의 동기, 취업경로, 취업의 의미와 미래계획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취업동기는 경제적 동기와 비경제적 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 경제적 동기로는 남편의 낮은 소득으로 인해 이들이 취업함으로써‘생활비 충당’, ‘자녀교육비 충당’, ‘내 집 마련’을 하기 위한 것이다. 비경제적 동기로는 답답한 일상에서 탈피’, ‘다른 사람에게 도움’, ‘일의 보람과 재미’, 또는‘한국사회에 적응 등 다양한 동기가 표출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취업경로를 생산·서비스직 유경험자와 생산·서비스직 무경험자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생산·서비스직 유경험자의 한국어실력이 우수해 스스로 취업정보를 찾고 구직활동을 했으며, 다양한 일을 해온 경험이 있다. 또한 생산·서비스직 무경험자들은 정부 공공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이 자신의 취업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로는‘경제적 도움’, ‘본인의 발전’, ‘정신적 충족감과 행복감’, ‘사회연결망 확장’, ‘자녀교육에 도움’, ‘가족 내 지위 향상’등의 긍정적 의미와 ‘역할 갈등’과 같은 부정적 의미 등 다양한 의미가 나타났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구직과정이나 직장생활에서 외국인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그리고 기혼자에 대한 차별적 언사와 편견을 경험했으며, 취업시장에서 학력과 연령에 대한 차별이 존재함을 경험했다. 또 한국인들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이들을 불편하고 힘들게 하는 경험이었다.
다섯째, 연구참여자들의 취업과 관련된 미래계획은 자신의 중국어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 중 일부는 한국어에 능통하지 못했고 학력이 높지 않지만, 그들이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참여한 교육과 취업훈련을 통해 스스로 직업을 찾고 전문직에 준하는 일을 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 적응단계를 지나 정착 단계에 진입한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에서 한국인들과 같이 일하며 경제적인 안정과 풍요한 생활을 누리기 위해 높은 취업욕구를 가지게 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착단계에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욕구를 파악하고 취업가능 직종을 발굴하는 연구와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 하는 역할을 하면서 경험한 갈등은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역할갈등 중에서도 자녀양육 및 교육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한 갈등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지원정책은 자녀의 양육 및 교육 지원과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미래 계획이 중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일에 집중된 현상을 보였다. 이들의 취업 직종을 보다 다양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 성공모델을 발굴하고 외국의 성공사례를 소개하는 기회를 통해 다양한 직업에 이들을 노출시키는 방안들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직 취업 경험을 가진 조선족 결혼이주여성들의 사례에 대한 심층면접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을 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모집했기 때문에 이들은 전문직 종사자로서 일에 대한 자부심과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직종에 따른 취업경험과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결혼 전 모국에서 더 나은 조건의 취업을 위해 도시 이동 또는 노동이주를 감행하기도 했다. 또 한국에 입국 후 생활력을 바탕으로 강한 취업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했던 것에 비해 미래의 일 계획은 구체적이거나 다양하지 않았다. 따라서 구체적인 미래 계획을 가지고 있거나 미래 직업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사례를 발굴하는 것도 이들을 위한 향후 취업지원계획의 수립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