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는 주어진 텍스트를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해 의미를 재구성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읽기 교육의 역할은 학습자가 텍스트에 담긴 의미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읽기는 주어진 텍스트를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해 의미를 재구성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읽기 교육의 역할은 학습자가 텍스트에 담긴 의미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스키마(배경지식)의 활성화를 돕고, 다양한 읽기 방법 및 전략을 학습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읽기 교육에서는 읽기 과정을 읽기 전․중․후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 역할에 따라 준비 및 읽기, 그리고 이해하기 과정으로서의 읽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읽기 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읽기 이해를 돕기 위한 전략의 사용, 읽기 텍스트의 선정 및 개작, 교재 분석 및 개발 등을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읽기 단계에 대한 연구는 읽기 전․읽기 중․읽기 후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동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읽기 전 단계에서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어떻게 활성화시키느냐에 따라 같은 텍스트를 읽더라도 학습자의 이해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읽기 전 과정에서 행해지는 활동이 대부분 교사의 질문이나 발문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사의 수업 중 읽기 및 발문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읽기 수업을 대상으로 읽기 전 단계를 살피되, 특히 읽기 전 단계의 기능과 역할에 따른 교사의 발문을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을 제시하였다. 읽기 및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중 읽기 질문 및 발문에 대한 연구, 교사 발화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검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토대로 본고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고 논의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단계적 접근에 대한 이론의 제시 및 교실 수업에서 교사 발화와 발문 등에 관해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 장에서 제공되는 이론들 및 발문 등에 대한 논의는 향후 Ⅳ장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된 발문 연구의 모색에 근간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절차 및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급 대상 읽기 수업을 분석하였다. Ⅱ장에서 구성한 발문 유형 각각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그에 따른 실제 발문 예시를 제시하였다. 읽기 전 단계의 발문을 분석하는 이유는 학습자가 읽기 중 단계에서 텍스트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읽기 전 단계를 통해 충분히 준비되어야 하고, 텍스트를 읽은 후 새롭게 얻은 정보를 배경지식과 긴밀히 연결하여 이해를 심화하는 읽기 후 단계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Ⅴ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밝혔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