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파생어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형태론적으로 첨가어 또한 교착어의 특성을 가진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파생어를 대상으로 대조 분석을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두 언어의 파...

본고는 형태론적으로 첨가어 또한 교착어의 특성을 가진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파생어를 대상으로 대조 분석을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두 언어의 파생접사 및 파생어의 예들을 제시하여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인 검토를 하였다.
I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범위를 제시한 다음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는 한국어의 기존 연구, 인도네시아어의 기존 연구 및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대조 연구로 다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II 장에서는 파생어에 관련된 개념들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어근, 어간, 어기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접사와 어근의 결합을 파생어로 인정한다. 접사의 경우는 파생과 굴절의 차이를 제시한 다음, 양 언어의 파생접사 설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언어의 접사 목록도 제시되었다.
III 장에서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파생어를 검토하고 형태론적 측면에서 대조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파생어의 경우, 구체적으로 접두사에 의한 파생 및 접미사에 의한 파생으로 나눠서 살펴보았고 인도네시아어의 경우는 불연속접사에 의한 파생어도 같이 다루었다.
형태론적 대조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접사에 결합 가능한 요소 및 어근에 결합 가능한 접사의 수에서 공통점이 보인다. 또한 파생어가 분리 불가능하다는 점도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두 언어의 차이점은 접사의 수와 종류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접사의 기능과 의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접사와 어근의 결합 과정에 일어난 형태음소 변화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IV 장에서는 양 언어의 파생어 형성 측면에 주목하여 통사ㆍ의미론적으로 검토하였다. 통사론적인 측면에서는 파생어를 형성할 때 적용되는 통사적 제약을 살펴보았다. 또한 파생어의 내부 구조에 핵 계층 이론을 적용해 보며 다루기도 하였다. 한편 의미론적인 측면에서는 파생어 구성 요소인 어근의 의미와 파생어의 의미 관계에 대해 살피고 파생어 형성에서 일어나는 저지 현상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V 장에서는 본 논문을 요약하고 본 논문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derived words in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which both morphologically share the characteristic of agglutinative language. Using contrastiv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derived words in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which both morphologically share the characteristic of agglutinative language. Using contrastiv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derivational affixes and derived 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pter 1 presents the aim and scope of the study, along with the review of related studies. The related studies examined three parts: research in Korean language, Indonesian language and comparative- contrastive research in both languages.
Chapter 2 defines the concept of root, stem, base and affix, which assumed to be part of derived words. From this definition, this thesis sees that the composition of root and affix forms the derived words. While on affix, this thesis presents the differences between derivation and inflection before determining the standards of derivational affix. The list of affixes in both languages is also presented.
In Chapter 3, this thesis closely examines Korean and Indonesian derived words and its morpholog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rived words in both languages again classified into derivation by the prefix and suffix, and also by complex affixes in Indonesian language.
It is found that both languages share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in the possible component to combine with affixes and the number of affixes allowed to be combined with the root. The fact that derived words is inseparable is also shown up in both languages. Meanwhile, the differences can be seen in the types and number of derivational affixes. This is related 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affixes in both languages. Besides, morphophonemics changes are also being the differences in derived words formation.
Chapter 4 focused on derived words 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Syntactic perspective examines the syntactic constraint in derived words formation. X-bar theory is also applied in attempt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derived words. While for the semantic perspective, derived words formation is examined through its relation with blocking rules.
Lastly, Chapter V presents the summary of this thesis.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