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관계 접속문에 대한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本論文對韓國語和漢語的時間關係接續文的對應關係進行了對比研究。 為了對韓國語和漢語時間關係接續文進行對比研究,本論文對韓國語中表示順次關係的'-고서','-아서','-...

本論文對韓國語和漢語的時間關係接續文的對應關係進行了對比研究。 為了對韓國語和漢語時間關係接續文進行對比研究,本論文對韓國語中表示順次關係的'-고서','-아서','-자','-자마자','-다가';表示同時關係的'-으면서','-느라고';表示逆序關係的'-으러','-으려고'; 和既能表示同時關係又能表示順次關係的'-고'進行了研究。通過例句略论了用這些連接詞尾連接的接續文,在統辭方面的特征和接續文前半句謂語特征,以及與之相對應的漢語形式。 漢語接續文中的時間關係主要通過'先…然後','再','之後','原來…後來','先…接著','一邊…一邊','一面…一面','一…就','馬上','既…也/又','又…又','著','同時'等連接詞來表現。 順次關係的連接詞尾主要是指接續文中前半句行爲和後半句行爲有一定的時間間隔,順次發生的連接詞'-고서', '-아서', '-자', '-자마자', '-다가'等,順次關係接續文中前半句的內容比後半句的內容先發生。這其中通過'-아서'和'-다가'連接的接續文前半句和後半句的主語是統一的,而通過'-고서','-자','-자마자'連接的時間關係接續文,主語可以相同也可以不同。大部分表示時間關係的連接詞尾所連接的接續文,韩语论文,前半句的謂語部分只能使用動詞,但'-다가'沒有這樣的制約,可以和多種詞類一起使用。韓國語中的順次關係連接詞尾'-고서'主要和漢語的'先…然後','再','之後'相對應;'-아서'所連接的接續文一般多與漢語的無標記接續文相對應;'-자'和'-자마자'主要翻譯成漢語的'一…就';'-다가'在不同的情況下可以翻譯成漢語的'接著','又','就','著'等形式。 表示同時關係的接續文,前半句行爲和後半句行爲幾乎同一時間發生。本論文中表示同時關係的韓國語連接詞尾主要有'-으면서','-느라고'。'-으면서'主要表示接續文的前後兩個動作一起發生,'-느라고'可以表示前後兩個動作一起發生,或者兩個動作時間上有重疊。'-으면서'所表示的前半句行爲和後半句行爲的關係雖然不是完全的同時,但前後兩種行為存在著同時維持的關係。'-으면서'主要和中文的'一邊…一邊','既…也/又','又…又'等相對應,'-느라고'沒有特定的表示時間關係的漢語連接詞與之相對應。 本論文所研究的關於逆序關係的連接詞尾包括'-으러','-으려고',主要用來表示接續文後半句行爲在前半句行爲之前發生。'-으러'和'-으려고'表示逆序關係時,'-으러'可以用於祈使句等句式,對句型沒有限制,而'-으려고'則不能用於祈使句,'-으러'和'-으려고'都沒有特定的漢語連接詞與之相對應。 根據連接詞尾'-고'所表示的時間性可以分成兩種時間關係,順次關係和同時關係。表示順次關係的時候'-고'和'-고서'在意義和特征方面都比較相似。'-고'在表示時間關係的時候在時態和謂語詞性方面都有一定的制約。一般情況下,表示同時關係的'-고'和漢語的'著','同時'相對應,表示順次關係的'-고'和漢語的'之後',韩语毕业论文,'先…然後','再'相對應。關鍵詞:時間關係接續文,順次關係,同時關係,逆序關係.

이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관계 접속문에 관한 대조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관계 접속문에 관한 대조를 위하여 순차관계의 '-고서, -아서, -자, -자마자, -다...

이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관계 접속문에 관한 대조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관계 접속문에 관한 대조를 위하여 순차관계의 '-고서, -아서, -자, -자마자, -다가', 동시관계의 '-으면서, -느라고', 역순관계의 '-으러, -으려고', 그리고 동시관계와 순차관계를 다 나타낼 수 있는 '-고'를 중심으로 각각 어미의 의미를 살펴보고, 예문을 통해 그들의 통사적 특성의 대응 양상과 선행절 서술어의 특성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시간관계 접속문은 중국어에서 접속요소 先…然後', '再', '之後', '原來…後來', '先…接著', '一邊…一邊' '一面…一面', '一…就', '馬上', '既…也/又', '又……又', '著', '同時' 등이 쓰인 구문으로 표현되었다. 순차관계의 접속어미에는 선행절의 행위와 후행절의 행위가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순차로 일어남을 뜻하는 '-고서, -아서, -자, -자마자, -다가' 등이 있다. 순차관계의 접속문은 앞의 문장에 있는 내용이 뒤 문장의 내용보다 시간상으로 앞선다. 그 중에서 '-자'와 '-자마자'는 앞의 행동이나 상황이 끝난 후에 뒤 행동이나 상황이 일어날 때 사용되는 어미이지만, 앞 절 동작이 이루어지고 바로 다음 절의 상황이 일어날 때 사용된다. '-고서, -아서'에 의해 연결된 접속문은 선행절과 후행절의 주어가 같아야 한다. '-자, -자마자, -다가' 접속문은 선행절과 후행절의 주어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순차관계의 접속어미들은 대부분 동사와 어울리지만 '-다가'는 서술어의 품사에 대한 제약이 없다. 한국어 순차관계의 접속어미 '-고서', '-아서'는 중국어에서 주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접속요소 '先…然後', '之後', '再'와 대응되었다. '-자', '-자마자'는 중국어에서 연발의 접속요소 '一…就'와 대응되었다. '-다가'는 중국어에서 '接著', '又', '就', '著'와 대응되었다. 동시관계의 접속어미에는 선⦁후행절의 행위가 거의 같은 시간에 일어남을 뜻하는 '-으면서, -느라고'가 있다. '-으면서'는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 한꺼번에 일어난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느라고'는 앞뒤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혹은 겹친다는 의미를 가진다. '-으면서'와 같이 완전한 '동시'는 아니지만,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 동시에 유지된다. '-으면서'는 주로 중국어 연결요소 '一邊…一邊', '既…又', '又…又'등에 대응되는데 '-느라고'는 대응되는 중국어 시간관계 접속요소가 없다. 역순관계의 접속어미에는 후행절의 행위가 선행절의 행위에 시간상으로 앞서 일어남을 뜻하는 '-으러, -으려고'가 있다. '-으러'는 목적의 역순관계를 나타내고 청유문이나 명령문과 잘 어울리나, '-으려고'는 의도의 역순관계를 나타내고 청유문이나 명령문과 어울리지 못한다. 역순관계의 접속어미 '-으러', '-으려고'에 대응되는 중국어 시간관계 접속요소가 없다. 시간관계 접속어미 '-고'에 대해서는 시간성에 따라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한다. 하나는 두 사건을 같은 시간으로 이어주는 '-고', 하나는 두 사건을 시간적 선후관계로 이어주는 '-고'가 있다. 후자의 '-고'는 '-고서'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시간관계적 의미를 갖는 접속어미 '-고'는 과거의 '-았-, -았었-', 미래의 '-겠-', '형용사', '있다/없다'나 '이다/아니다'와 결합할 때 제약이 있다. 일반적으로 동시관계를 갖는 '-고'의 접속문은 중국어 표현에서 '同時', '著'의 구문으로 표현하고 순차관계를 갖는 '-고'의 접속문은 중국어 표현에서 '之後', '先…然後', '再'의 구문으로 표현한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