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이주 여성의 담화에 나타난 한국어 높임법 오류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높임법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알아보고, 실제 대화가 진행되는 일상생활 속에서 한국높임법을 얼마나 제대로 사용하는지 분석하는 데 의미...

본 연구는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어 높임법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알아보고, 실제 대화가 진행되는 일상생활 속에서 한국어 높임법을 얼마나 제대로 사용하는지 분석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즉, 일상적인 담화 상황에서 드러나는 결혼 이주 여성들의 한국어 높임법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오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 연구 과제로 했다.
연구 자료는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내 결혼 이주 여성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모두 17명의 결혼 이주 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령대는 20~30대, 출신 국가는 5곳이었다. 조사를 진행한 결과, 거의 모든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어 높임법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높임법 종류 중에서도 주체높임법은 말하기 수준이 높은 고급 단계의 화자 일부만 사용할 줄 알았다. 특수높임법 역시 많은 발화 장소에서 오류가 확인되었고, 특정 높임 표현의 어휘만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두드러졌다.
세부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텍스트별로 높임법 오류 분석 결과에서 담화 상에서의 높임법 오류와 질문지에 나타난 높임법 사용 오류 사이에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7명의 결혼 이주 여성 전체의 오류 평균을 분석했더니 담화 상에서의 높임법 오류율이 질문지에서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문어 상에서는 높임법 사용을 비교적 할 줄 아는 반면, 구어를 통한 실제 대화에서는 높임법 사용률이 저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형별 높임법 오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주체높임법 오류율이 특수높임법 오류율에 비해 월등하게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텍스트별 분석에서의 담화와 질문지 사이의 오류율과 유사하게, 주체높임법 오류율이 특수높임법 오류율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준별 높임법 오류 분석에서는 학습 수준에 따라 높임법 사용 능력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수준이 높다고 해서 한국어 높임법 사용률이 더 높은 것은 아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문법적 교육이 체계적인 학습 과정에 걸쳐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결혼 이주 여성들의 실제 담화 자료를 분석해, 한국어 높임법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오류 실태를 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much female marriage-immigrants know about Korean honorific and how they properly use in their actual conversation. The main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usage pattern of Korean honorific and type of errors i...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much female marriage-immigrants know about Korean honorific and how they properly use in their actual conversation. The main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usage pattern of Korean honorific and type of errors in their casual conversation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with 17 female marriage-immigrants of 20-30s, from 5 other countries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ng center run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showed that almost female marriage-immigrants did not speak Korean honorific properly. Especially in case of subject honorific, only a few persons in advanced level were able to speak. Also a lot of errors of special vocabulary honorific were found in their conversation. It stood out very limited words have been used.
To summarize this research, First, in error analysis of texts,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honorific errors in conversation and DCT(Discourse Completion Test). As a results of error analysis of 17 female marriage-immigrants, rate of errors in actual conversations was doubled than in DCT. That means they can speak honorific better in written language than in spoken language. Second, in error analysis of types, the rate of errors of subject honorific was much higher than special vocabulary honorific. Similar to the result in error analysis of texts, rate of errors of subject honorific was doubled than special vocabulary honorific. Finally, in error analysis of level, it was presented that learning level does not affect to ability to speak Korean honorific. That means high educated person does not speak Korean honorific more frequently than low educated person. That is, organized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honorific is not implemented well. This research has meaning on analyzing the pattern of Korean honorific usage and specific errors occurred from marriage-immigrants’ daily conversation.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