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dissertation presents a study focused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students that aim at enrolling in a Korean university.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dividuate and select the main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to present t...
This dissertation presents a study focused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students that aim at enrolling in a Korean university.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dividuate and select the main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to present the main principles for the application of these contents.
In chapter 2,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theories, goals and extension of the curriculum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re selected with a focus on the phase that precede the students’ selection of the major. Then, the three main approaches (language centered approach, skill centered approach, content centered approach)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re critically discussed. The skill centered approach resulte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phase that precede the selection of the major by the students, but it presents problems on the structure point of view, it can not deal with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it has limitation from the teaching methodology point of view. This is way it is difficult to apply this approach in a Korean for Academic Purpose curriculum.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kill centered approach, the concept of “competencies” was choose as the main unit to build a curriculum of Korean as Academic Purpose and its theoretical foundation has been showed.
In chapter 3 and 4, the concept of Korean study competence was defined and the sub-competencies were selected. In order to select the sub-competencies and the contents of the Korean study competence a learning diary analysis and an IPA analysis was used. A Delphi technique was then us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elected contents. Through this process a model with 16 sub competencies and 210 activities were selected.
In chapter 5 the principles to consider for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re discussed. The model of Korean study competence suggested in this dissertation can be used as guideline to be applied under different forms to better suite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chapter, in order to apply this model to the selected environment, principles for content selection and sequencing, principles for content structure and a teaching model are also suggested.
This study shows a new path for the teaching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by focusing on competencies, mostly ignored in the past. In particula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Korean study competenc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as the result of a careful analysis of the academic environment of Korean universities and of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examples of macroscopic research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need to be followed by others of this type. More research is need on the application as reference of the model for Korean study competence presented here and more research on syllabi and textbook developed through this model need to carried on.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로,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 요소가 되는 내용 항목을 추출 및 선정하고 이를 활용할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로,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 요소가 되는 내용 항목을 추출 및 선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전공 진입 전 단계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범위와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졌던 학문 목적 언어교육의 세 가지 접근 방법(언어 중심 접근, 기술 중심 접근, 내용 중심 접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기술 중심 접근은 범전공적인 특성으로 인해 전공 진입 전 한국어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그것이 가지는 위계와 체계상의 문제, 학문의 속성을 담아내지 못하는 문제, 그리고 교수 방법적인의 한계 등으로 인해 이를 그대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술 중심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Competencies(역량)’를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핵심 내용 단위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한국어 학습역량(Korean study competence)’의 세부역량(Competecies)과 그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한 작업을 실시하였다. 한국어 학습역량이라는 새로운 내용 범주의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학습일지 기법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된 내용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교육 내용으로서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6개의 세부역량(Competencies)과 210여 개의 세부활동들로 구성된 한국어 학습역량 모형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5장에서는 이러한 한국어 학습역량(Korean study competence)을 기반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원리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구축한 한국어 학습역량(Korean study competence) 모형은 교육과정의 참조기준으로 학습자와 교육 환경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게 교육 내용을 선정 및 배열하는 원리, 내용 구성의 원리, 일반 교수․학습 모형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실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그간 주목 받지 못했던 역량(Competencies) 단위를 재조명함으로써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고에서 구축한 한국어 학습역량 모형은 한국 대학에서의 학문 수행 환경과 학습자의 학문 수행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여 만들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대한 거시적인 연구들 가운데 초기 연구에 속하며 앞으로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어 학습역량 모형이 참조기준으로서 역할을 하는 만큼 그 활용 방법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연구들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모형을 상세화하여 교수요목을 설계하거나 교재 개발을 하는 연구들도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