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격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 처리의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이다. 관계절 처리의 비대칭성에 관하여, Hsiao & Gibson(2003)은 후핵 언어(head-final language)인 중국어는 목적격 관계절이 주...
본 연구는 주격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 처리의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이다. 관계절 처리의 비대칭성에 관하여, Hsiao & Gibson(2003)은 후핵 언어(head-final language)인 중국어는 목적격 관계절이 주격 관계절보다 더 쉽다고 주장하였지만, 성인들은 목적격 관계절보다 주격 관계절을 더 잘 처리한다는 것을 수많은 연구들이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아동들의 경우 성인과 달리 완성된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가정할 때, 관계절 처리 양상이 성인과 다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림선택 과제를 사용하여 만 4, 5, 6세의 한국 아동들이 실시간으로 관계절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격조사와 현저성이 아동들의 관계절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관계절 실험 결과, 성인들에 대한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실험에 참여한 한국 아동들은 목적격 관계절보다 주격 관계절을 더 잘 처리하였다. 또한 이 아동들은 격조사 이해 실험에서 목적격 조사보다 주격 조사를 더 잘 이해하였는데, 관계절 내 명사구에 주격 조사를 사용하는 목적격 관계절보다 목적격 조사를 사용하는 주격 관계절을 더 잘 이해한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한국 아동들이 관계절을 처리하는 데 격조사를 중요한 단서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저성에 관하여 관계절 처리 양상을 면밀히 살펴볼 때 연령에 따라 관계절 처리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현저성을 고려하여, 관계절 유형을 1) 현저성 주격 관계절, 2) 비현저성 주격 관계절, 3) 현저성 목적격 관계절, 4) 비현저성 목적격 관계절로 구분하였을 때, 모든 연령대가 현저성 주격 관계절을 제일 쉬워하였고, 비현저성 목적격 관계절을 제일 어려워하였다. 그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절은 나이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나이가 어릴수록 관계절 유형보다 현저성에 더 의존하고, 나이가 많을수록 현저성보다 관계절 유형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현저성의 의존도가 높은 만 4, 5세는 비현저성 주격 관계절보다 현저성 목적격 관계절을 더 잘 처리하였지만, 관계절의 의존도가 높은 만 6세는 현저성 목적격 관계절보다 비현저성 주격 관계절을 더 잘 처리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통사적 특성을 위주로 관계절의 비대칭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하지만 현저성이라는 의미론적 특성을 적용하였을 때, 주격 관계절이 목적격 관계절보다 더 처리하기 쉽다는 단순한 결론을 넘어서서 목적격 관계절이라 하더라도 현저성이 부여될 때 비현저성 주격 관계절보다 더 쉬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