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는‘그녀는 잘 산다’(well-being 혹은 well-buying)와 같이 중의적인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중의적 표현은 하나의 어휘가 여러 의미를 지니는 어휘적 중의...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는‘그녀는 잘 산다’(well-being 혹은 well-buying)와 같이 중의적인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중의적 표현은 하나의 어휘가 여러 의미를 지니는 어휘적 중의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며, 본 연구에서는 어휘적 중의성을 유발하는 중의어-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비교하고자 한다.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는 하나의 단어 형태가 여러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중의적 어휘(중의어)라는 하나의 범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의어는 한 형태의 어휘가 둘 이상의 관련된 의미 자질을 지니는 반면에, 동음이의어는 한 형태의 어휘가 서로 무관한 둘 이상의 개별 의미들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장 이해 과정에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가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실험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의미 표상 구조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에서는 문장 내 중의어(다의어 또는 동음이의어)가 선행 맥락에 따라 주요의미(가장 선호되는 의미), 부가의미(덜 선호되는 의미) 또는 중립의미(주요의미 또는 부가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의미)로 활성화되도록 조작하였다. 이 때 맥락에서 활성화되는 의미가 중의어의 여러 의미들 중에 가장 선호되는 의미(주요의미)일수록 맥락이 다음에 등장할 어휘에 대해 강한 어휘적 예측력을 지닐 것이라고 가정하였다(우세 효과).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 이어서 등장하는 동사의 의미가 기존 맥락에서 활성화된 의미와 자연스럽게 통합되기 어려울 수록 동사에서 관찰되는 의미 적합성 효과의 크기가 커질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며, 이러한 적합성 효과 크기는 어휘적 예측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N400과 전체 의미 통합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P600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실험 결과, 동음이의어 조건에서는 동사의 의미 적합성 효과가 어휘적 예측의 실패에 따른 N400과 전체 의미 통합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P600이 함께 나타나는 이항적(biphasic) ERP 패턴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의미 맥락 조건에서 강력한 N400과 P600이 함께 나타났으며, 부가의미 맥락 조건에서는 강한 P600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의어에서는 동음이의어와 달리 모든 맥락 조건에서 N400이 발생하지 않았고, 주요의미맥락 조건에서만 P600이 나타났다. 이처럼 동사 의미 적합성 효과에 따라 검출되는 뇌파 패턴이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난 결과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처리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meanings of homonyms are activated separately. However, it is still controversial 1) whether multiple senses of polysemy are activated separately like those of homonyms or 2) whether only core and shared meanings o...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meanings of homonyms are activated separately. However, it is still controversial 1) whether multiple senses of polysemy are activated separately like those of homonyms or 2) whether only core and shared meanings of polysemy are activated underspecifically. Bu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rocessing of ambiguous words in the lexical level not in sentential level and how activated meanings of ambiguous words are integrated into sentences was given less attention. Thus I looked into the processing of ambiguous words in sentential level by taking advantage of relationship between ambiguous nouns and sentence-final verb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