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is an important tool for peop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exchanging thoughts, opinions and understandings. In this thesis, patterns of the
negative words in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been, from the point of
comparative linguist...
Language is an important tool for peop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exchanging thoughts, opinions and understandings. In this thesis, patterns of the
negative words in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been, from the point of
comparative linguistics, studied and analyzed i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purposes and methods of the study have been stated first in the thesis,
and then the changes in patterns and the positions of the negative words have
been analyzed. Besides, comparisons have been mad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negatives, in which the negatives in Korean depend on the subjects to
the subjective or the objective orientation, whereas in Chinese the negatives
bear concepts of time and thus are divided accordingly. Finally, the teaching
pattern “presentation-practice-use” has been put forward for the Chinese
beginners to learn Korean.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helpful and useful to the Chinese who are
learning Korean and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Korean or the Korean people
who are learning Chinese.
언어는 사람들이 서로 교감하는 수단과 도구이다. 사람들은 언어를 통하여 서로 사상을 교환하고 자신의 의결을 나누고 상대방의 이해를 구한다. 본고에서는 대조 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
언어는 사람들이 서로 교감하는 수단과 도구이다. 사람들은 언어를 통하여 서로 사상을 교환하고 자신의 의결을 나누고 상대방의 이해를 구한다. 본고에서는 대조 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 표현을 분석하고 교육 방안을 만들었다. 다방면의 연구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철저하게 연구하였다. 한중 부정 표현이 어떤 면에서 비슷하고 어떤 면에서 다른지를 논술하였다.
우선 본고의 연구 목적을 명시하고 선행연구를 제시하였고 연구 대상과 방법을 언급하였다. 그 다음으로 한중 부정 부사가 문장의 시제에 따라서의 형식 변화를 제시하고 한중 부정 부사가 시제 표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중 부정 부사가 각각 자기 언어의 부정문에의 위치를 제시하고 한중 부정 부사가 부정문에의 위치를 대비분석을 하였다. 또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 부사 의미 차이 특징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먼저 한국어 주요한 부정 부사를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 부정 부사가 두 가지로 나누는 이유가 바로 주관의도와 객관능력 이 두 가지에 어떤 쪽이랑 더 가까운 것에 달려 있다. 부정 부사 ‘안’은 단순한 부정과 주관 부정을 표시하며 부정 부사 ‘못’은 객관 부정을 표지한다. 부정 부사 ‘안’은 주체의 의도를 부정하게 표현하는 것이고 부정 부사 ‘못’은 주체의 능력을 부정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중국어 부정 부사가 다르게 ‘不’와 ‘沒(有)’로 분류하는 이유는 주관 부정과 객관 부정이 아니라 ‘不’와 ‘沒(有)’의 의미 특징이 동작 상태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부정 부사 ‘不’는 아직 발생하지 않거나 실현하지 않는 상태를 부정하는 것이다. 부정 부사 ‘沒(有)’는 완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부정 표현 교육 모형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부정 표현 교육 방안은 중국인 학습자 특성에 맞는 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중국인 학습자 특성을 살려 중국인 초급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 모형은 ‘제시-연습-활용’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시는 형태를 제시한 후 의미 제시를 하고 연습 단계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만들어가는 창조적인 과제 중심 연습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하도록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쳐 주는 한국어 교사 그리고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