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tilizing the Korean Culture Symbols: Focusing on Territorial and Historical Symb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accurate perceptions of Korea to be formed while teaching Korean culture...
A Study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tilizing the Korean Culture Symbols: Focusing on Territorial and Historical Symb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accurate perceptions of Korea to be formed while teaching Korean culture to nonnativ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udy's scope thus focuses on four territorial symbols (Dokdo, the East Sea, Baekdu Mountain and Geumgang Mountain) and four historical symbols (King Sejong, Admiral Yi Sun-sin, Dangun and King Gwanggaeto). These eight cultural symbols have been singled out of a selection of one hundred symbols announced in 2006 by then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Korea.
Of course, there are concerns that cultural clashes may occur from choosing topics which have so far rarely been dealt with in culture education for nonnative Korean language learners, especially topics which have been sources of conflict over history between Korea and its neighbors. For example,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the naming of the East Sea have been targets of controversy between Korea and Japan, while Baekdu Mountain, Dangun Joseon, and King Gwanggaeto of the Korean kingdom Koguryo have raised issues between Korea and China. Nevertheless, this study assumes an inverse rationale in which covering such topics can contribute to achie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and communication with different cultures, thereby preventing cultural clashes from arising with nonnativ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pporting them to form accurate perceptions of Korea. Therefore, this study places its foremost efforts in identifying content to be taught through culture education and in devis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at best fit the aforementioned rationale.
This study's second phase considers each of the eight Korean cultural symbols in terms of the categories of 'knowledge-function-attitude' as well as Jerome Bruner's idea of a spiral curriculum, which takes a hierarchical approach to learning by first acquiring basic knowledge and then gradually adding levels of sophistication to such knowledge. What should be taught about each symbol was derived from needs analysis for Korean cultural symbols as well as contet analysis of twenty-four different textbooks on Korean culture for non-Koreans.
Regarding the survey above, most respondents displayed levels of proficiency beyond advanced in the Korean language. Even with such high levels of proficiency, the survey found that respondents were much more knowledgeable about cases involving territorial and historical symbols of Korea than anticipated. This finding reveals the potential for Korean cultural symbols to be utilized whe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Regarding the content analysis of existing textbooks on Korean culture for non-Koreans,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analyzed textbooks primarily focus on traditions or the daily life of Koreans. Most textbooks don’t even contain any topics at all such as cultural symbol with ethnicity based on historical facts that is necessarily dealt with in textbook especiall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Perhaps the textbook has those topics, it merely deals with the tip of an iceberg. In worst case, some textbooks skip those important historical facts so could lead to mis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or undermine positions Korea takes overseas on territorial or historical issues.
The study's third and final phase suggests singular and compound course plans that may be applied to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cultural symbols. The singular course plan suggested for the topic 'Dokdo' is based on the value inquiry model. The problem-solving model and role-play model are combined to suggest a compound course plan for the topic 'Dangun.' For the territorial symbol 'East Sea,' three different models are mixed to suggest a course plan: the concept attainment model, the value inquiry model and the creativity development model.
The value of utilizing the selection of one hundred Korean cultural symbols is expected to become essential in the future. However, the selection's initial target was Koreans and it has been almost ten years since the selection was made. Considering such circumstances, constant monitoring should be done on changes occurring as time goes by and in terms of the preference of nonnative learners in order to continue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selection of Korean cultural symbols so as to improve its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강역’ 및 ‘역사’ 상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 문화교육을 통한 한국 관련 국제적 바른 인식을 제고하려는 취지에서, 외국...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강역’ 및 ‘역사’ 상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 문화교육을 통한 한국 관련 국제적 바른 인식을 제고하려는 취지에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내용으로서 2006년 (당시)문화관광부 선정 ‘100대 한국 민족문화상징’의 강역상징 4개(독도/동해/백두산/금강산) 및 역사상징 4개(세종대왕/이순신/단군/광개토대왕)를 중심으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비록 기존의 한국어 문화교육 분야에서는 별로 다루어지지 않은 독도·동해표기 등 한일 간 역사갈등 이슈와 백두산·단군조선·고구려 광개토대왕 등 한중 간 역사갈등 이슈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문화충돌 우려 또한 없지 않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계기로 오히려 상대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원활히 함으로써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과의 문화충돌 우려를 사전에 예방하고 아울러 한국 관련 국제적 바른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문화교육의 내용 및 교수·학습모형을 설정하는 데 최대한 역점을 두었다.
다음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선정된 민족문화상징 사례별로 ‘지식-기능-태도’의 범주 및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급 위계화를 염두에 두고,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민족문화상징 요구도 조사’와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교재 24종의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 분석대상인 8개(강역상징 4개, 역사상징 4개)의 민족문화상징별 문화교육 내용을 설정하였다.
민족문화상징의 요구도 조사와 관련하여,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대부분이 고급 수준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이긴 하나 한국의 강역·역사를 포함한 민족문화상징 사례들에 대해 본 연구자의 당초 예상 보다는 훨씬 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이 많이 활용될 여지가 있음도 파악되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한국문화교재 분석과 관련하여, 파악된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교재들의 절반 이상이 생활문화, 전통문화 등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국 관련 국제사회의 바른 인식 제고가 절실히 요구되는 강역 및 역사 민족문화상징 등과 같은 주제들은 아예 반영조차 되어 있지 않은 교재가 다수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설사 강역 및 역사 민족문화상징 주제들이 한국문화 교재에 반영되어 있는 경우에도 단순히 기본적인 내용 정도에만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어떤 경우는 강역·역사 상징 자체의 현안 중요성을 간과함으로 인해 자칫 기술된 내용이 역사왜곡의 우려 내지 한국의 대외적 입장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도 일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민족문화상징의 문화교육에 실제 적용할 교수학습 모형 및 과정안을 단일모형과 복합모형으로 구분하여 선별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1개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단일모형으로는 강역 민족문화상징인 ‘독도’를 대상으로 ‘가치학습탐구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2개의 모형을 융합한 복합모형으로는 역사 민족문화상징 ‘단군’을 대상으로 ‘문제해결학습 모형-역할놀이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해 보았으며, 3개의 모형을 융합한 복합모형으로는 강역 민족문화상징 ‘동해’를 대상으로 ‘개념학습 모형-가치탐구학습 모형-창의성계발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역사·영토 이슈까지 포괄하고 있는 ‘100대 민족문화상징’의 활용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 더 요긴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100대 민족문화상징 자체가 국내 한국인을 염두에 두었을 뿐만 아니라 선정된 지도 거의 10년이 되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향후 시대적 변화와 외국인 학습자의 성향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계속 수정·보완해 나가면서 민족문화상징의 활용도와 효용도를 제고시키는 노력도 병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