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resented the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method in Korea's Japanese education.
Korea's Japanese education continues to classes which introduce culture by reflecting a new perception on the language class - culture relation...
This presented the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method in Korea's Japanese education.
Korea's Japanese education continues to classes which introduce culture by reflecting a new perception on the language class - culture relationship. But the topology of culture introduced in language classes has yet to be established, universal theories on culture education have yet to be settled, and language-culture integration methods have yet to be further discussed.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to define culture introduced in language classes, and to examine the possible language-culture integration method in basic Japanese courses.
Towards that e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volving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linguistic methodologies was conducted. Lev Semenovich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and Robert Lado's diagram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of culture for Japanese classes was defined in terms of broad culture and narrow culture. Proposed herein were two methods of offering language and culture comprehensively, namely, the in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and the ex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Furthermore, two surveys 1 and 2 were conducted targeting 57 Japanese language teachers and Korean teachers from 22 nations. In Survey 1, the possibility of formation of cultures was explored, revealing that the typological difference between learners' mother culture and target culture had a relative nature of being clearer through comparison, and that, in Korea's Japanese education in the non-Japanese environment, the in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as possible. In Survey 2, diverse specific examples of Korean learners' language and behavioral culture were derived.
To apply these findings to classes, the schema theory on cognition and learning was examined, and thus the method of in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as proposed. And, class models 1, 2, and 3, which introduced this teaching method partially, were ed. Class models 1 and 2 concerned the integration of broad culture and language, and class model 3 concerned the integration of narrow culture and language. Also, an example of writing a textbook to help the in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as presented. This textbook was designed to help Korean learners compar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perceive cultures inherent in languages, and transform their cognition structure.
This study proposed a theory on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 which was lacking in Korea's Japanese education -, and defined the concept of possible cultures introduced in Japanese classes. Also, methods of the in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and of the ex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ere presented, a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in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as proposed. This method can apply to Korea's non-Japanese-speaking environment, to classes comprising teachers and learners who sha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and to basic Japanese classes.
In basic Japanese classes, the in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as proposed to be applied to the input course, and the ex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as proposed to be applied to the output course. The two integration methods should be appropriately used together according to preparation for learning, objectives of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lass models involving extralinguistic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which are fit for Korea's Japanese education.
본고는 한국의 일본어 교육에 도입 가능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제시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일본어 교육은 언어수업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선진적으로 반영하여 문화를 ...
본고는 한국의 일본어 교육에 도입 가능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제시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일본어 교육은 언어수업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선진적으로 반영하여 문화를 도입한 수업 등을 지속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 수업에 도입되는 ‘문화’의 형태가 아직 확립되지 않았고, 문화교육에 관한 보편화된 이론이 정착되지 않았으며, 언어와 문화의 통합방식에 관한 논의가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언어와 문화의 관계성을 밝혀, 언어 수업에 도입되는 ‘문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초급 일본어 과정에 도입 가능한 ‘언어와 문화의 통합방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발달심리학과 언어학의 방법론을 도입한 학제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비고츠키(Lev Semenovich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과 라도(Robert Lado)의 도식을 고찰하여, 일본어 수업에 도입되는 문화의 개념을 ‘광의의 문화’와 ‘협의의 문화’로 정의하고,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서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과 ‘언어와 문화의 언어 외적 통합’이라는 두 가지 형태를 상정하였다.
더불어, 세계 22개국 57명의 일본어 교수자와 한국인 교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①·②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①에서는 문화의 유형화 가능성을 탐구하고, 학습자의 모문화와 목표문화의 ‘유형적’ 차이는 ‘비교’를 통할 때 더욱 선명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는 ‘상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 비일본어 환경인 한국의 일본어 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은 실행가능한 방식이라는 점을 추론하였다. 설문조사②에서는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언어와 행동문화에 관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예를 얻었다.
이상의 고찰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인지와 학습에 관한 이론인 스키마이론을 살펴보고, 이 이론을 참고하여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을 지향한 교수법인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교수법을 부분적으로 도입한 수업모델①·②·③을 보고하였다. 수업모델①과 ②는 ‘광의의 문화’, 수업모델③은 ‘협의의 문화’와 언어의 통합을 지향한 수업모델이었다. 또한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법’ 도입을 돕는 교재 작성 예를 소개하였다. 이 교재는 한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교를 통하여, 언어에 내재하는 문화를 인식하도록 돕고 학습자 인지구조의 변형을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고는 이상과 같이 한국의 일본어 교육에 부재했던 언어와 문화의 본질적인 관련성에 대한 이론을 제안하였고, 일본어 수업에 도입 가능한 문화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과 ‘언어와 문화의 언어 외적 통합’이라는 통합방식을 제공하고,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법’이라는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한국이라는 비일본어 환경, 한국어·한국문화를 공유하는 교사와 학습자로 구성된 교실, 초급과정이 많은 수를 차지하는 일본어 수업에 적용 가능한 방식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초급 일본어 수업에서 ‘언어와 문화의 언어 내적 통합’은 입력과정에, ‘언어와 문화의 언어 외적 통합’은 출력과정에 적합한 통합의 방식으로 제안하였다. 두 통합의 방식은 학습준비도·학습 목적·학습 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병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금후에는 본고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일본어 교육에 적합한 ‘언어와 문화의 언어 외적 통합’ 수업모델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