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학생 영어 논증 에세이에 나타난 논증장르 요소의 분석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영어 글쓰기 및 논증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된 요즘, 현역 대학생들이 작성한 논증 에세이에는 공인된 논증의 요소가 얼마나 나타나는지 의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영어 글쓰기 및 논증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된 요즘, 현역 대학생들이 작성한 논증 에세이에는 공인된 논증의 요소가 얼마나 나타나는지 의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대학생들이 영어로 쓴 논증 에세이를 Toulmin(2003)의 모델(내용면)과 Swales(1990)의 마디-단계 분석(형태면)을 토대로 분석하고, 학생들의 에세이가 이 두 분석도구에서 제시하는 논증 요소를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어서 두 측면의 분석 결과는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에세이를 수집한 두 집단의 성질 차이를 고려하여 서로 유의미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이 결과가 에세이 지도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이 작성한 영문 논증 에세이에는 내용면과 형태면에 있어서 논증 장르의 요소를 얼마나 포함하는가?
둘째, 대학생들의 논증 에세이를 분석하여 도출한 내용면의 논증 요소 점수와 형태면의 논증 요소 점수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TOEFL 지도를 받은 학생들과 일반 에세이 쓰기 지도를 받은 대학생들의 에세이 간에는 어떤 논증적 차이점이 나타나며 이는 에세이 지도에 있어서 교육학적으로 어떤 점을 시사하는가?
위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문제에 대해, 내용면에 있어서는 주장요소와 자료요소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포함시키고 있으나 정당한 이유 요소 사용이 가장 취약하고, 부차적 요소는 교수법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에 대해, 내용 요소 점수가 높을수록 형태면 점수도 높게 나오는 정비례관계 등의 일관된 상관관계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논증 에세이 지도 후, 두 측면의 요소 적용 능력은 서로에 대해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 연구문제에 대해,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점을 몇 가지 보였다. 내용면에서는 주장요소와 자료요소에 있어 C집단 학생들이 약간 앞섰으나, 반박과 반론이라는 부차적 요소의 포함에 있어서는 K집단 학생들은 적합하게 전원이 포함하였고, C집단 학생들은 단지 문제제기를 위한 수단으로 포함하여 그 효과가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종합하면, 논증 글쓰기에 있어서 논증 요소를 어떻게 교수․학습 했느냐에 따라 전반적으로 실제 글쓰기에 명백한 영향이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더 효과적인 논증 글쓰기를 위해서는 논증 요소의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겠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Both the demand and need for competent English writing skills has recently been rapidly increasing. Not only do international and national English proficiency tests include complete writing tasks, but the present global trend that employs divers...

Both the demand and need for competent English writing skills has recently been rapidly increasing. Not only do international and national English proficiency tests include complete writing tasks, but the present global trend that employs diverse types of on-line communication creates an immediate demand for English writing skills as well. Meanwhile, having English writing skills does not mean simply possessing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it also involves utilizing many more complex writing elements such as unity, coherence, continuity, and logic. The genre of argumentative writing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that this writing genre is often selected in proficiency tests, admission requirements, or school assignments, mainly because it helps to develop and show highly sophisticated intellectual abilities in the writer which are more and more necessary in this present society. Despite its importance and potential, argumentative writing is not taught and learned enough in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there still remains much to be revealed in the research of this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analyze the argumentative writing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learned how to write argumentative s for the first time (after entering college), and to see how much of argumentative elements can be found in their s. This thesis first reviews the literature related to this study, namely addressing the issues of genre, discourse community, argumentative writing, and the analysis of argumentation; and then reveals the importance and positive effects of teaching argumentative writing. As for the actual research, the research tools employed in this study are Toulmin's argument analysis and Swales' Move-Step analysis, which reveals the level of content-related argumentative elements and form-related argumentative elements in a text respectively. A total of 16 argumentative s written by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having different methods of argumentative writing instru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wo tools. Quantitative results were mentioned holistically, and qualitative results, especially in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s from two universities, were discussed in more detail.
Overall, in terms of content, the students were better at using the argument elements of claim and data more than at using warrants and secondary elements, although there was some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form, the students showed almost uniform results within each university group, which suggests that instruction on form can be highly effective.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little to no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to use content-related elements and form-related elements. Third, when considering the students from each university were given different methods of instruction in writing argumentative s, the two differ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in their writings.
Despite the limitations to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rgumentative writing in the future, and offer guidance in further research related to this stud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