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말하기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말하기 지도 목표에 대한 연구를 ...
제1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말하기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말하기 지도 목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먼저 초급 말하기 목표 및 교육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말하기 활동을 제시하였는데, 초급 학습자 수준에 어울리는 말하기 활동으로는 모방하기, 연습하기, 이야기하기/발표하기, 게임, 사진ㆍ그림을 이용하기, 정보 및 의견 교환하기, 역할극 등이 있다. 또 모둠의 구성원에 따라 짝 활동과 소그룹 활동에 대해서 논의하고, 모둠의 구성과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초급 대상으로 모둠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지도의 교수 활동에 대한 방안을 제시했고 모둠의 구성 내용과 모둠을 지도할 때 교사의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인 한국어 수업 모형은 다섯 단계, 즉 도입, 제시, 연습, 활동, 마무리로 구분하고, 수업에서 교사-학습자와 학습자-학습자 간의 상호대응 유형을 통해서 모둠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도입 단계에서 교사가 모둠을 확인하고, 제시 단계에서 학습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습과 활동 단계에서 주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해서 모둠을 활용하는 학습 단계이고, 마무리는 학습 평가 단계이다.
구체적 수업 방법은 모둠으로 게임, 역할극,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말하기 수업 지도 방안 실제를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에 따라서 게임 활동은 연습과 활동 단계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역할극 활동은 활동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학습자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 재미있는 주제로 이루어진 스토리텔링을 선택하여 “도입-전개-집중-확장-정리”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마다 모둠을 활용해서 초급 수준에 맞는 말하기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제4장의 결론에서는 논문 내용의 요약과 실제 교수-학습 지도안에 대한 이론을 요약하였다. 제시된 수업 지도 방안에 대해 분석하고 마지막에 모둠을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기대효과를 밝혔다.
The first chapter ha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and presents the priority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purposes.
Chapter two has addressed primary spoken language education objectives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first, and then raised...
The first chapter ha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and presents the priority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purposes.
Chapter two has addressed primary spoken language education objectives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first, and then raised the speaking activities base on the level of elementary learners. For starters, you can use speaking activities include games, imitation, publish, role play, exchange of information and opinions, adjuvant use of information, interviews and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in groups, it can be divided into paired work and group activities. Also raised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consideration sand to paired work and group for speaking activity.
Refer to the theories of paired work and group activities in Chapter two, Chapter three presents the scheme of group formation and the educational guidance notes. Under the general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this puts forward a team-centered teaching model. Education programs are major base on games, role play, story telling, and in the form of small groups as the specific teaching plan. Games, which is the practice in the spoken language are often used. Playing in a relaxed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s can get oral practice. Although story telling is not commonly used in speaking activities, interesting content of stories can improve the learners' interests, noting that because the object is the elementary learners, in the choice of the theme of stories should not too complex, the vocabulary and grammar should be as simple as possible.
In Chapter4, the forenamed theories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summarized, on the assumption, this program has brought the expected benefits.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