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중급 읽기 교재 텍스트의 선정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읽기텍스트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의미를 독자가 배경지식과 여러 가지 요인들을 통해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재구성해나가는 과정이다. 읽기 텍스트는 읽기 학습을 위한 중요한 도...

읽기는 텍스트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의미를 독자가 배경지식과 여러 가지 요인들을 통해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재구성해나가는 과정이다. 읽기 텍스트는 읽기 학습을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읽기 텍스트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실력을 길러 최종적으로는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텍스트는 학습자들의 목표에 맞게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읽기에 관련 연구는 읽기의 다양한 이론을 적용한 읽기 수업 방안, 읽기 수업의 목표,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텍스트에 관한 연구는 텍스트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 텍스트 개작을 통한 텍스트 이해 교육, 텍스트 유형 또는 텍스트 구조에 따른 교육방안 등의 연구가 근래에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텍스트 유형과 텍스트 구조만을 자세하게 분석하여 현재 교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주안점을 두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중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에 나타난 텍스트 유형과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텍스트 유형과 구조의 선정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먼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선행 연구로는 한국어 읽기 교재에 관련된 연구와 읽기 텍스트의 유형과 구조를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을 검토한 뒤 문제를 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읽기에 관한 이론, 텍스트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유형과 구조에 대한 분류 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들의 읽기 텍스트 유형과 구조를 분석하고, 텍스트 유형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만 제보적 텍스트 중 설명문에 초점을 맞춰 텍스트 구조를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들은 텍스트 유형 중에서 한 유형으로 편중되어 있었고, 교재마다 각각 다른 종류의 텍스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구조에서는 열거 구조에 초점을 맞춘 텍스트가 많은 것으로 보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의 텍스트의 구조가 다양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유형과 구조가 편중되어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우선 현재 한국어 능력 시험의 읽기 평가 기준과 한국어 표준 교육 모형에서의 읽기 교육 목표를 토대로 한국어 중급 읽기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텍스트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급 교재 텍스트의 다양화를 위해 유형적,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중급 목표에 알맞은 텍스트 유형과 구조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읽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텍스트 유형이 아니라 다양한 텍스트 유형을 접하도록 해야 하고 텍스트를 학습자 스스로 효율적으로 일어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읽기 목표에 따른 텍스트 유형과 구조의 다양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 점과 제시한 텍스트 유형과 구조가 교재를 개발하고 교재에 읽기 텍스트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참조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ading is a process of an understanding and active reconstructing a meaning of contents in a given text, being affected by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and other factors. The text material is used as an important source to improve reading compreh...

Reading is a process of an understanding and active reconstructing a meaning of contents in a given text, being affected by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and other factors. The text material is used as an important source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Learners can enhance an ability to grasp a context fast and effectively, and it leads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texts ultimately. Therefore, the text should be designed variously, according to different purpose of learners.
Prior studies on reading Korean have primarily focused on suggestions for classroom reading teaching that diverse reading theories are applied, goals for classroom reading teaching, and studies for development of textbooks. Recent studies on the text such as teaching methods to understand contents effectively, class to understand the text by revising it, various teaching methods classified by types or structures of the text have not yet been perfect. Most of them are too much focused on types of structures of the text, so studies on solutions to current problems of the textbooks are rare.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d on seeking methods to selection types and structures of diverse texts, after analyzing types and structures of the text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referred. The problems are pointed out, after other studies on the Korean reading textbook and types and structure of the text are examined.
In chapter II, the classifying of text type and structure is proposed, after theories on the text and reading are analyzed.
In chapter III, the text types in the Korean reading textbooks that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use are discussed and an expository text, the majority of the text, is looked into in detail. As a result, it is found out that the textbooks lean too much towards on one type and each text book has different sorts of texts. In addition, the enumeration structure is mainly used. It meant that there are not diverse types of texts in the used textbooks.
In chapter IV, in order to compensate the defects, the goal of Korean the intermediate level reading is set up. It is based on valuation basi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 goal of Korean standard educational model. Then, the types of tex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oal, and varied texts are presented in view of various types and structures. Based on this, the principle of revising the given text material in the class is referred.
In chapter V, prior chapters are reviewe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commented on. This study is concluded with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learners should access and repeated multiple text types, rather than single text typ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offer suggestions for diversifying types and structures of the text. The text given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source to develop textbooks and constitute reading text.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