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들의 선호도를 기초로한 문화지도 방안 연구(20대 유학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thesis is to present some objects and courses of culture education, practical culture guidance based on foreign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aspects, for the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r a foreign language so as ...

This thesis is to present some objects and courses of culture education, practical culture guidance based on foreign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aspects, for the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r a foreign language so as to know Korea and learn Korea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is is caused by the sympathy of needs and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In the first chapter, I confirm the meaning of the inseparable relation between language learning and cultural understanding, show the study backgrounds and objects of this thesis, and prescribe the study methods and spheres.
In the second chapter, I investigate how culture education is enforced in teaching Korean as confirm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ulture education. After I examine the various theories in the academic world, I clarify the reason why culture education is needed in teaching Korean. Then, I establish the objects and courses of culture education in relation to how the culture education is made in the real Korean classes.
Also, I look into preceding studies in connection with culture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and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is thesis and them. I also sublate the method of culture education is one-sidedly explained by a Korean teacher in class and try to compile culture guidance based on Korean learners' preferences in consideration of Korean students' actual needs and discernment. For this, the question survey process(which produces some questions in relation to the possible culture education guidance in a class for the students of Korean) is important and meaningful.
In the third chapter, I conducted a survey intended for young foreign adult students studying in Wonkwang University in order to know what aspects of Korean culture they would like to learn. The questions are made up of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respondents’ basic facts, their Korean competence and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and their preferences in conjunction with Korean culture. The questions include several items that ask not only questions in relation to Korean culture as a way of Korean conversational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in contents but also questions about Korea’s peculiar customs and cultural interests. I ask questions about what twenty-first century students prefer as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what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culture education and Korean competence is in this chapter, too. This survey, after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results, can be established as the leading source of data in estimating Korean culture guidance based on this.
In the fourth chapter, I suggest the actual culture education guidance according to the students’ pre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e survey for the purpose of Korean competence development. In the survey, the answers, which respondents prefer much more, are the students-centered lessons rather than teacher-centered ones.
First, the culture guidance of using Korean movies or dramas why is what the respondents prefer the most. Students can write out a script like a real writer and play a role like a movie star. They can also be a theater audience. This can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Korean culture much more.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who used K-pop as the culture guidance, it is possible to hold a students-centered song contest. Through this contest, students can make themselves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by their practical experience. Because for the students to learn culture completely is to enter the target language society on their own, go through, and practice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Last, in the fifth chapter, I put this thesis to rights synthetically and expressed my own opinion on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preceding studies and my own. It presents Korean culture guidance by weaving students-centered objects which through the survey differentiates from preceding studies but not to select and teach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only by a teacher unilaterally. That is the very Korean culture guidance by which students themselves, who are the centers of learning on the spot of Korean education, want to know, learn, experience, and communicate!!

본 논문에서는 제2언어로서 또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을 배우고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필...

본 논문에서는 제2언어로서 또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을 배우고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깊이 공감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 한국어 학습자의 선호도를 기초로 한 실질적인 지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언어학습과 문화 이해 간의 불가분의 관계의 의미를 확인하여, 본 논문의 연구 배경 및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방법 및 범위를 규정해 보았다.
제2장에서는 문화 교육의 이론적인 배경을 확인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학계에서의 다양한 이론을 고찰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밝히고, 실제 한국어 수업에서 문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해 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것들과 본 논문과의 차이점을 피력하면서 수업 중 문화 교육이 일방적으로 설명화되는 방식을 지양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와 눈높이를 고려하여 그들의 선호도를 기초로 설정된 문화 지도 방안을 엮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업 중 가능한 문화 교육 방안과 관련된 문항들을 산출하여 직접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과정이 아주 중요하고도 의미 있다 하겠다.
제3장에서는 원광대학교에서 유학 중인 20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배우고 싶어 하기를 원하는 한국 문화 관련 내용이 무엇인지 설문 조사를 직접 해 보았다. 설문지는 크게 응답자의 기본 사항과 한국어 능력 및 교육현황, 한국 문화와 관련한 선호도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으로는, 한국어 회화 능력이나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한국 문화 관련 문항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유한 풍습과 문화에 대한 관심을 묻는 설문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21세기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한국 문화 내용은 어떠한 것들이며, 이러한 문화 교육과 한국어 능력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 등을 묻는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설문 조사는 그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이후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 문화 지도 방안을 가늠해 보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설문 조사의 결과와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보여준 선호도에 따라 실제로 한국어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실질적인 문화 교육 수업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의 선호도가 높았던 답변들은 주로 교사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보다는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 훨씬 더 많았다.
먼저 학습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이용한 한국 문화 지도 방안으로는 학습자들이 실제 작가처럼 대본을 작성해 보고, 또 배우처럼 연극이나 역할극을 해보고 관객도 되어보면서 한국 문화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또 중급 및 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대중가요 케이팝(K-Pop)을 이용한 한국 문화 지도 방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노래자랑을 열어 학습자들이 실제 체험을 하면서 문화를 익히도록 해 보았다. 왜냐하면 문화를 가장 확실히 배울 수 있는 방법은 학습자가 실제로 그 사회 속으로 들어가서 몸으로 체험하며 익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 두드러지게 차별화되는 점을 피력해 보았다. 문화 교육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교사중심으로 선정하고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으로 엮어 제시한다는 데에 그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즉,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의 중심이 되는 학습자 스스로가 알고 싶고, 배우고 싶고, 체험하고 싶고, 그래서 소통하고 싶은 한국 문화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