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age of acquisition on L2 pronunci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L2 acquisition at a younger age makes pronunciation closer to that of the native speaker (Oyama, 1976; Patkowski, 1990; Flege, 1995; Flege, Mun...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age of acquisition on L2 pronunci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L2 acquisition at a younger age makes pronunciation closer to that of the native speaker (Oyama, 1976; Patkowski, 1990; Flege, 1995; Flege, Munro & MacKay, 1995; Flege, Oh, Guion, & Aoyama, 2011). This inspects that age of acquisition is stil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vowel pronunciation if, after the acquisition of L2 at an early age, the language environment is L1.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L2 on L1 to explore the bidirectional effect between L1 and L2.
Korean males and females with different English acquisition age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involving English and Korean vowels. The participants had learned English in the US for a year.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ages of acquisition: the before-age-13 group (early acquisition group) and the after-age-17 group (late acquisition group). Research material comprised eight minimal pairs with the following vowels: [i, ɪ, ε, æ, ʌ, ɔ, α, u]. The vowel production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intensity, duration, F1, and F2. Additionally, Americ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as a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nglish vowel production test, the males in the aforementioned two groups had significant intensity difference in six material words. The early acquisition group had no difference with the native speaker group; however, the late acquisition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vowel duration difference between minimal pair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Korean and native speaker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early and late acquisition groups had no difference with regard to vowel duration. The place of production, namely, F1 and F2, for English vowels was affected by age of acquisition and the degree of Korean use. In the t-tests of F1 and F2, the early acquisition group had no difference with the native speaker group in some material wor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cquisition and the late acquisition groups.
The second experiment was the Korean vowel production test. Seven Korean vowels ‘ㅣ [i], ㅔ(ㅐ) [ε], ㅡ [ɯ], ㅓ [ʌ], ㅏ [α], ㅗ [o], ㅜ [u]’ were used as material. The two Korean groups and Koreans having no overseas experienc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of English acquisition did not have an effect on Korean vowel production among female participants. However, the same was not true for male participants. The location of the tongue for the males in the early acquisition grouop for producing ‘ㅔ(ㅐ) [ε]’ and ‘ㅏ [α]’ was more in the upper side of their mouths compared to that of the late acquisition grouop and the no overseas experience group. The reason, as this finds, is that the early acquisition group has to distinguish Korean (‘ㅔ(ㅐ) [ε]’ and ‘ㅏ [α]’) and English ([ε, æ] and [α]) vowels.
Because the phonetic system for L1 at an early age is flexible, variation in the place of production for Korean vowels is relevant to age of English acquisition (Guion, 2003). A weak L1 system makes it easier to acquire L2, and the L2 tends to affect the L1. Except in the case of ‘ㅔ(ㅐ) [ε]’ and ‘ㅏ [α]’, there was no alteration of Korean vowel produc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Korean use also has a strong influence on a speaker’s vowel produ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even after acquiring L2 at an early age, when one has limited exposure for L2 as they grow up, the influence of age of acquisition will have less effect. Furthermore, bidirectional effects were found with regard to L1’s influence on L2 and vice versa.
본 논문에서는 제2언어(L2) 습득 시기가 L2 발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L2는 어린 나이에 습득할수록 원어민에 가까운 발음을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Oyama, 1976; ...
본 논문에서는 제2언어(L2) 습득 시기가 L2 발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L2는 어린 나이에 습득할수록 원어민에 가까운 발음을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Oyama, 1976; Patkowski, 1990; Flege, 1995; Flege, Munro & MacKay, 1995; Flege, Oh, Guion, & Aoyama, 2011). 본 논문에서는 어린 시기에 L2를 습득한 이후에 L1의 환경에 주로 접하는 경우, 이미 습득한 L2가 L1의 영향을 받게 되는지 L2 모음 발음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습득한 L2가 L1의 모음 조음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여 L1과 L2의 양방향적 작용을 살펴보았다.
영어 습득 시기가 다른 남성과 여성 한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발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한국어 화자는 미국에서 1년 동안 거주하며 영어를 습득하였는데, 습득 시기에 따라 만 13세 이전과 만 17세 이후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실험 자료는 영어 모음 8개 [i, ɪ, ε, æ, ʌ, ɔ, α, u]의 최소 대립쌍(minimal pair)이었다. 영어 습득 시기가 다른 두 한국인 집단이 발화한 8개 영어 모음의 강도, 길이, 제1포먼트(F1)와 제2포먼트(F2)를 측정하였다. 미국 영어 원어민은 통제 집단으로 실험에 참여하였다.
영어 모음의 발화 실험 결과, 남성 한국어 화자 집단이 발화한 6개 단어에서 습득 시기에 따라 모음 강도의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영어 습득 시기가 빠른 남성 한국어 화자 집단은 영어 원어민 집단과 차이가 없었고, 영어 습득 시기가 늦은 집단은 영어 원어민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음의 성대 진동 여부가 다른 최소대립쌍의 모음 길이 차이에서는 실험 단어 세 개에 대해 한국어 화자 집단과 미국 영어 원어민 집단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어 습득 시기가 다른 한국어 화자 집단 간에는 모음 길이에 차이가 없었다. 영어 모음의 조음 위치와 연관된 F1과 F2 값은 영어 습득 시기와 평소 한국어 사용량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실험 단어의 F1과 F2 값을 t-검정으로 집단 간 비교하였을 때, 영어 습득 시기가 이른 한국어 화자 집단이 영어 원어민 집단과 차이가 없는 결과, 영어 습득 시기가 이른 집단과 늦은 집단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결과가 있었다.
두 번째 실험은 한국어 단모음 7개 ‘ㅣ [i], ㅔ(ㅐ) [ε], ㅡ [ɯ], ㅓ [ʌ], ㅏ [α], ㅗ [o], ㅜ [u]’의 발화 실험이었다. 영어 모음 발화 실험에 참여한 한국어 화자 두 집단의 한국어 모음 F1과 F2 값을 측정하여 해외 경험이 없는 한국어 화자 집단의 모음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여성으로 구성된 한국어 화자 집단에서는 영어 습득이 한국어 모음 조음에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남성 집단에서는 한국어 모음 조음에 변화가 있는 경우가 있었다. 영어 습득 시기가 이른 남성 한국어 화자 집단은 모음 ‘ㅔ(ㅐ) [ε]’와 ‘ㅏ [α]’가 습득 시기가 늦은 한국어 화자 집단과 해외 경험이 없는 한국어 화자 집단에 비하여 구강의 위쪽에서 조음되었다. 영어 습득 시기가 이른 한국어 화자 집단이 한국어 모음 ‘ㅔ(ㅐ) [ε], ㅏ [α]’에 대응하는 영어 모음 [ε, æ], [α]를 구별하기 위하여 한국어 모음의 조음 위치를 이동시킨 것으로 해석하였다.
어린 나이에는 L1의 음성 체계가 유연하기 때문에 한국어 모음 위치 변화는 영어 습득 시기와 관련있다(Guion, 2003). 견고하지 않은 L1 체계는 L2를 더 효과적으로 습득하게 하고, 동시에 L1이 L2의 영향을 받아 변형될 수 있다. 또한 ‘ㅔ(ㅐ) [ε]’와 ‘ㅏ [α]’를 제외한 모음에서는 어떠한 조음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평소 한국어의 사용량이 화자의 모음 조음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린 시기에 L2를 습득하였더라도 이후에 L2 노출이 제한적이라면 습득 나이(age of acquisition) 효과가 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L1만이 L2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L1이 L2의 영향을 받는 양방향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