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 상의 문법화 대조연구 : ‘-(고) 있-’과 ‘着’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spectual ambiguity of the Korean auxiliary verb ‘-ko it-’ and the Chinese aspect auxiliary word ‘zhe’. ‘-ko it-’ and ‘zhe’ are of high frequency in daily language and are both imperfectiv...

This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spectual ambiguity of the Korean auxiliary verb ‘-ko it-’ and the Chinese aspect auxiliary word ‘zhe’. ‘-ko it-’ and ‘zhe’ are of high frequency in daily language and are both imperfective markers and perfective markers,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other aspectual markers. Reasons for the aspectual ambiguity of grammaticalized ‘-ko it-’ and ‘zhe’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rammaticalization between them are concluded through a synchronic and diachronic analysis. An attempt is also made at a systemic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syntactics, syntax and semantics by means of induction approach.
In addition to the typical aspectual marker ‘-ko it-’ and ‘zhe’, the exclusion of aspectual ambiguity in other aspectual markers is also determined in Chapter 2. Eight mechanisms of grammaticalization are given to facilitate the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ko it-’ and ‘zhe’, and the grammaticalization theories are applied to the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auxiliary verbs and complements in Korean and Chinese.
Chapter 3 focuses on an analysis of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Korean auxiliary verb ‘-ko it-’ and the Chinese aspect auxiliary word ‘zhe’. In an attempt at a diachronic study of the grammaticalization of ‘-ko it-’ and ‘zhe’, the changes of Korean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to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to contemporary age, and changes of Chinese from the Pre-Qin Period, to the Eastern Han Dynasty, to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o Sui Tang and Five Dynasties and to Song and Yuan dynasties, to contemporary age are researched into. In an attempt at a synchronic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 it-’ and ‘zhe’ and other aspectual markers, and between other imperfective markers of modality and perfective markers of modality, and an analysis of meaning loss on a semantic level and a combination with verbs of aspectual ambiguity ar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is, a further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ko it-’ and ‘zhe’ is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Linguistics, revealing the reasons for the aspectual ambiguity 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ir grammaticalization.
The semantic changes of the main verbs ‘-ko it-’ and ‘zhe’ in terms of space have gradually broken the constraints of the use of preceding verbs. There is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that begin using them, as well as in the number of verbs and nouns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m, which, in turn, has quickened their grammaticalization. They eventually become aspectual markers with aspectual ambiguity through grammaticaliza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diachronic grammaticalization, the main mechanism for the change of the denotation ‘-ko it-’ and ‘zhe’ from verbs in terms of space to aspectual markers with aspectual ambiguity in terms of time is metaphor. While in the process of synchronic grammaticalization, the main mechanism for the generation of aspectual ambiguity due to the effect of preceding verbs that is concluded from the aspectual ambiguity generated due to the use of [-punctual] and [/resultative] preceding verbs is analogy. Of course, the two mechanisms do not work separately i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Instead, they accelerate grammaticalization with an interactive combination with such mechanisms as reanalysis, generalization and pragmatic inference, etc.

본 논문은 한국어 보조용언 구성 ‘-(고) 있-’과 중국어 체조사 ‘着’의 상적 중의성에 관한 대조 연구이다. 실생활에서 고빈도로 사용하고 있는 ‘-(고) 있-’과 ‘着’은 기타의 상 표지...

본 논문은 한국어 보조용언 구성 ‘-(고) 있-’과 중국어 체조사 ‘着’의 상적 중의성에 관한 대조 연구이다. 실생활에서 고빈도로 사용하고 있는 ‘-(고) 있-’과 ‘着’은 기타의 상 표지들과 다르게 미완료상과 완료상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통시적 측면, 공시적 측면의 고찰을 통하여 허사화된 ‘-(고) 있-’과 ‘着’의 상적 중의성이 생기는 원인과 그 문법화의 공통점, 차이점을 조명하고 귀납적 방법으로 형태론적 · 통사론적 · 의미론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논의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했다.
제2장에서는 전형적 상 표지인 ‘-(고) 있-’과 ‘着’을 제외한 기타의 상 표지가 상적 중의성이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고) 있-’과 ‘着’의 문법화를 살펴보기 위해 문법화의 여덟 가지 기제를 확립하고 문법화 이론을 한국어 보조용언 구성과 중국어 보어의 문법화에 적용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보조용언 구성 ‘-(고) 있-’과 중국어 체조사 ‘着’의 문법화에 주안점을 두었다. 우선 ‘-(고) 있-’과 ‘着’의 통시적 문법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 중세, 근대, 개화기, 현대로 이어지는 변화 과정과 先秦부터 東漢, 魏晉南北朝, 隋唐五代, 宋元 시기로 이어지는 변화 과정을 추적하였다. 그리고 공시적 문법화를 살펴보기 위해 ‘-(고) 있-’과 ‘着’이 기타 상 표지들과의 비교, 양태성을 띤 기타 미완료상 · 완료상 형태와의 비교, 의미론적 차원의 의미 탈색, 중의적인 동사와의 결합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은 보조용언 ‘-(고) 있-’ 구성과 체조사 ‘着’의 문법화를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각각 상적 중의성이 생기는 원인과 그 문법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정리하면 한국어 보조용언 구성 ‘-(고) 있-’과 중국어 체조사 ‘着’은 먼저 공간적 의미를 가지는 본용언으로부터 스스로 그 기능이 바뀌는 과정에 따라 선행용언의 범위가 점점 넓어졌다. 이후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과정에서 생산성이 더 강해지면서 ‘-(고) 있-’과 ‘着’의 문법화 진행을 더 가속시켰다. 결과적으로 시간적 의미를 가지는 중의적 상 표지로 문법화되었다. 그러므로 통시적 문법화 과정에서 ‘-(고) 있-’과 ‘着’이 공간적 의미를 가진 동사로부터 시간적 의미를 가진 상 표지로 변하게 하는 주요 기제는 ‘은유’임이 밝혀졌다. 공시적 문법화에서는 [-순간성][/결과성]을 지닌 중의적 선행동사와 결합되면 상적 중의성이 생기므로 ‘-(고) 있-’과 ‘着’을 상적 중의성이 생기게 하는 주요 기제는 선행동사의 견인, 즉 ‘유추’라는 것을 규명했다. 물론 문법화 과정에서 이 두 개의 기제가 독립적으로 문법화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고, 재분석, 일반화, 화용적 추론 등의 기제들과 서로 작용하면서 문법화가 이루어졌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