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언어교육의 환경이 자발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환경으...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언어교육의 환경이 자발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환경으로 변해가고 있는 지금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도 멀티미디어 교육환경 또한 많은 발전을 하고 있으며,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글로만 읽고 말하여 이해는 것이 아닌 소리와 영상 매체를 통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게 되는 것을 많이 접하게 되었다. 또한 혼자 학습하는 것이 아닌 참여를 통한 소통의 문화로 변하는 시점에서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젠킨스가 제시한 컨버전스에 기반을 둔 디지털 참여문화, 그리고 디지털리터러시로 접근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현재 한국어교육에서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한국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구성과 난이도의 분포는 어떠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컨버전스 참여문화 현상에서 모바일 시대에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의 역할은 무엇이며, 앞으로 해결해야 될 문제점들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를 통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설명 하고 콘텐츠의 제작 및 이용 현황을 정리하여 한국어교육이 좀 더 쉽고, 정확하게 학습자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계자료를 통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스마트폰의 활용성을 나타내고 iOS기반의 앱스토어, 페이스북을 연구 대상의 주요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콘텐츠의 선정 방식은 스마트폰과 데스크톱을 이용하여 각각의 검색창에 ‘Korean Language', 'Korean'을 검색하여 5개의 모바일 앱과 3개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선정 이후 연구 대상을 분석하기 위해 젠킨스의 ’컨버전스에 기반한 디지털 참여문화 구성요소의 범주를 이용하여 크게 콘텐츠의 문화적 능력과, 사회적 기술의 획득 방법을 정리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속도로 발전하는 모바일과 소셜 미디어는 삶의 많은 부분에서 변화를 가지고 오고 있고 교육 또한 그 영향을 받고 있다. 고정된 학습장소를 벗어나서도 학습을 원하는 학습자들의 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고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 통해 다양한 미디어로 접근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대부분의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의 구성은 텍스트와 오디오를 이용한 기초 어휘교육을 구성하고 있고 녹음 기능을 활용한 발음 교육을 구성한 앱도 있었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초급단계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기본적인 문법학습을 할 수 있는 앱도 있었다. 한국어교육 소셜 미디어로 페이스북은 페이지를 활용하여 한국어에 관한 게시글을 올리거나 오류를 지적해주는 수준의 교육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젠킨스가 제시한 논의의 핵심은 디지털 기술의 기능적 또는 비판적 접근과 함께 학습자의 즐거움, 경험, 온라인 안에서 참여하고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려는 욕구에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국어교육에 관한 콘텐츠의 개발은 고정된 학습 환경을 벗어난 곳에서 학습을 원하는 학습자들의 욕구를 잘 파악해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잘못된 학습내용과 확실하게 구분되어진 난이도의 필요성이
마지막으로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고 소통이 가능하며 공유와 연결이 가능한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해서 정확한 학습체계와 정보의 오류를 잡아내고 여과기능이 있는 콘텐츠에 대한 검증 절차와 제도적인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Korean education via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analysis and use cases and the need to see their role. Voluntary langua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w changing into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Korean lang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