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력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다문화가아동의 한국어 발달에서 나타나는 문제 중의 하나인 어휘력 부족이 취학 후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학습 부진으로까지 이어진다고 보...

연구다문화가아동의 한국어 발달에서 나타나는 문제 중의 하나인 어휘력 부족이 취학 후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학습 부진으로까지 이어진다고 보고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의 어휘력을 비교,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 발달 실태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취학 전 다문화가정의 만 5세, 6세 아동 20명과 일반가정의 만 5세, 6세 아동 21명, 총 41명을 대상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와 2013년 개정된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전 과목 교과서 10권을 바탕으로 선정한 어휘 목록을 토대로 작성된 ‘취학 전 아동 대상 학령기 수용 어휘력 검사’를 시행하였다.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로서,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어휘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진단 및 평가를 하였다. 이후 본 연구를 위해 제작한 ‘취학 전 아동 대상 학령기 수용 어휘력 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의 아동이 학령기에 접어들어 최초로 접하게 될 초등학교 1학년 학습 어휘에 대해서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력을 분석 정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용 어휘력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슷한 연령대의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어린이집, 유치원 등과 같은 거의 동일한 외부 교육환경에 노출된 것을 감안했을 때 이러한 수용 어휘력 수준의 차이는 가정환경에 의한 차이로 보인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만 5세, 6세 아동 간 어휘력 격차가 일반가정의 만 5세, 6세 아동 간보다 크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만 6세 아동의 어휘력이 일반가정 만 6세 아동에 비하면 다소 부족할지라도 다문화가정 만 5세 아동과 비교하면 어휘력이 눈에 띠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이 시기 외부 교육기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 한국어 교육의 결과로 추측된다.
셋째, 동사의 어휘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사의 경우 명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시하는 대상이 분명하지 않아 이에 대한 이해력도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취학 전 아동 대상 학령기 수용 어휘력 검사’ 결과 다문화가정 만 6세 아동이 일반가정 만 5세 아동보다 수용 어휘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정 만 6세 아동의 초등학교 1학년 학습 어휘에 대한 이해도가 일반가정 만 5세 아동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더욱 심도 있는 어휘 교육이 필요함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력 부족 문제를 보다 빨리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먼저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부분이 보강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가능한 공교육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인원이 많지 않아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는 다각적인 어휘력 분야의 후행 연구들이 진행되어 이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한국 사회 적응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ocabulary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with children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assumption that lack of vocabulary ability in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ocabulary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with children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assumption that lack of vocabulary ability in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s an influence on their school life and also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research, 20 five and six years of ag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21 five and six years of age children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were examined with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and ‘Receptive Vocabular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which is made of the words based on the word list from 10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vised in 2013.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a standard diagnosis tool, was used to more objectively evaluate the vocabulary abil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Receptive Vocabular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designed for this study, was used to examine how much these two groups knew and understood the first grade vocabularies of elementary school.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poorer than that of the children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Given that they are exposed to the same educational environment involving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is difference probably extends from a difference in home environ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ve-year-olds and six-year-olds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the gap of same age children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It seemed this is because they overcame by exposure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ird, results indicated lower vocabulary ability in verbs, compared with nouns. Results show that this is because verbs are less explicit than nouns.
Fourth, in ‘Receptive Vocabular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of six-year-olds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lower levels compared with five-year-olds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result shows that intensive vocabulary education program is needed for the pre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dministrative support is required to develop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First, Korean language programs, involving bolstered elementary-school textbooks especially in vocabulary parts, need to be developed, and systematic public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needs to be expanded. Something to consider is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subjects of this study. The minimal number of subjects are not enough to generalize the result.
More studies on diverse vocabulary ability areas, in consideration of diverse variables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examined.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