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특성 연구 : 숙달도 단계별 특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final consonants of the Korean language by proficiency stage, and to grasp the order of the development of pronunc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final consonants of the Korean language by proficiency stage, and to grasp the order of the development of pronunc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order of learning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by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ways to enable them to learn effectively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Before conducting the experiments, both of the phonology of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 were examin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m in order to predict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f native language on Chinese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by proficiency stage, the same experiment object vocabulary for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arners was record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ers’ recognition of Korean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the learners were made to write the applicable words directly.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s were composed roughly of the pronunciation aspects of single final consonants and double final consonants,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proficiency stage advanced, the pronunciation of most of single final consonants were well developed but the other obstruent's (ㅅ, ㅈ, ㅊ, ㅌ) that are pronounced as representative sound differently from spelling were not completely developed even in the intermediate stage. Second, in the environment in which phonological phenomena occur, most learners made mistakes in pronunciation even in the intermediate stage.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ould be seen that learners were not aware of the phonological rules of the Korean language. Third, it was found that, in pronunciation education, teaching the learners real life pronunciation should be considered. It is because in the environment in which ‘ㅎ’ comes after the final consonants ‘ㄴ, ㄹ’, the learners drop out ‘ㅎ’, and pronounce the final consonants in prolonged sound as “저놔” and “겨론”, and this cannot be said to be just wrong pronunciation. Finally, in the pronunciation of double final consonants, the learners knew that they should choose one consonant to pronounce but they did not know exactly which consonant to choose to pronounce, and as a result, as the proficiency stage became higher, they chose and pronounced the first consonant by overgeneraliz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could be seen that it was not because Chinese learners could not pronounce the seven consonants as a final consonants. All of the mistakes in pronunciation could be seen just a result of various phonological phenomena, not because they could not be pronounce properly.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when teaching Chinese learners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nunciation knowledge about phonological phenomena should take precedence over practicing the pronunciation. And based on the order of pronunciation development obtained in this study, the order of presenting the teaching of the learners’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is being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thesis,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can be aware of the pronunciation knowledge and can use the accurate pronunciation.

연구의 목적은 중국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특성학습 단계별로 알아보고 발음 발달 순서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는 중국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종성 발음의 습득 순서를 ...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특성을 학습 단계별로 알아보고 발음 발달 순서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종성 발음의 습득 순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에게 한국어의 종성 발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발음을 하는 데 있어서 모어가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예측해 보기 위해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체계를 비교·대조해서 살펴보았다.
학습 단계별 종성 발음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초급과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 대상 어휘 목록으로 녹음을 하였고 학습자들의 한국어 종성 발음 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해당 어휘를 직접 써보게 하였다. 실험 내용은 크게 홑받침과 겹받침의 발음 양상으로 구성되었는데,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숙달도 단계가 올라감에 따라서 대부분의 홑받침 종성 발음에 대한 발달은 잘 이루어졌으나 철자와는 다르게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기타 장애음(ㅅ, ㅈ, ㅊ, ㅌ)의 경우에 중급에서도 발달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두 번째로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환경에서는 중급에서도 대부분이 발음의 오류를 범하였다.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음운 규칙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발음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들에게 현실 발음을 가르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받침 ‘ㄴ, ㄹ’ 뒤에 ‘ㅎ’이 오는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ㅎ’을 탈락시켜서 받침을 연음해서 발음을 하는 [저놔]와 [겨론]과 같은 발음을 잘못된 발음이라고만 교육을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겹받침의 발음에서 학습자들이 한 개의 자음을 선택해서 발음을 해야 하는 것은 알고 있었으나 어떤 자음을 선택해서 발음하는 것인지는 제대로 모르고 있었고 그 결과 숙달도 단계가 높을수록 과잉일반화로 앞 자음을 선택해서 발음을 하고 있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중국인 학습자들의 숙달도가 올라가면 학습자들이 종성에 오는 7자음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었다. 다만 여러 가지 음운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발음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지 발음을 못해서 틀리는 것은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발음을 교육할 때는 음운 현상에 대한 발음 지식을 교육하는 것이 발음 연습에 선행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얻은 발음 발달 순서에 기초하여 학습자들의 종성 발음 학습 제시 순서를 제언하였다. 이 논문을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발음 지식에 대해서 인식하고 정확한 발음을 구사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