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국인 교도소의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의 실태와 한국어 학습 현황 및 출소 후의 계획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국인 교도소의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의 실태와 한국어 학습 현황 및 출소 후의 계획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외국인 수용자들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여 교도소 내 질서 유지 뿐만 아니라 이들의 원만한 수용생활을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구성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특수 목적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외국인 수용자 개념 및 국내 외국인 수용자의 국적별 현황, 그리고 국내·외의 외국인 수용자 대상 언어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의 상황 및 요구 분석을 위하여 외국인 수용자와 담당 교도관 그리고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분석된 자료를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고, 한국어 교사 교육과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전체적인 연구 내용과 본 연구의 논의를 정리하였다.
외국인 수용자들의 한국어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교수 이전에 외국인 수용자들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전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 중에도 교사들의 재충전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또한 한국어교육 방안으로 제시된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은 그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즉, 교도소 내에서 교도관이나 동료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작업장에 일할 때, 식당을 이용할 때, 제한된 환경과 시간 속에서 갖는 휴식 시간을 활용할 때 등의 상황들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도소에는 여러 나라의 수용자들이 있기 때문에 수용자 간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과 다툼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교도소 내의 질서를 유지하고 수용자들의 원활한 교도소 생활을 위하여 문화 교육을 병행하여야 한다.
셋째, 출소 후 외국인 수용자들의 사회복귀에 도움이 되도록 직업이나 취업 관련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이는 외국인 수용자들이 출소 후 본국 사회에서도 잘 적응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데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넷째, 외국인 수용자들의 시간적인 제약을 받는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개인 학습이 가능한 독학용 한국어 교재와 수용자의 모어가 반영된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한국어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을 특수 목적 한국어교육의 한 분야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언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외국인 수용자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겠으나 이와 함께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의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논의되고 체계화된 한국어교육 과정과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외국인 수용자 대상 한국어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foreign inmates and how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Further, examination of their plan after their discharge from the correctional institute w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foreign inmates and how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Further, examination of their plan after their discharge from the correctional institute was examined in order to, propose a desirable progra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foreign inmat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olve the communication problems so as not only to strengthen the order inside the institute, but also to propose a way to improve the lives of foreign inmates in Korea.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objective, the necessity,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and the status of the precedent studies are reviewed, als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ir studies are described.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 are described, the definition of the foreign inmates in Korea and current status of the foreign inmates including the number of the foreign inmates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inmates are surveyed. In chapter 3,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quirements was conducted survey of foreign inmates, Korean teachers and the correctional officer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in-depth personal interview. The results a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urvey, the necessity of a more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escribed, and an option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education and language text for foreign inmates are proposed. Finally in chapter 5, the overall study contents and key issue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nd summarized.
In order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foreign inmates living in Korean correctional institutes, the role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teachers to understand both the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mates as pre-training, and a refreshing and recharging program for the teachers are deemed necessary. Also, the propose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xt for the foreign inmates are as follows.
First, syllabus of the text needs to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foreign inmates(i.e.. a special consideration needs to be paid to the specific places where the communication is made, such as work place, cafeterias or dining hall, the place for taking rest and relaxation, etc).
Secondly, as there are many different ethnic groups living together, crises and conflicts can arise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This is because 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inmates as well as the officers.
Thirdly, to help the foreign inmates to smoothly adjust to the outside society in their home countries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institute, vocational training seems to be necessary.
Finally, considering the restrictions imposed to these inmates in time and places, Korean language texts for self-studying which reflect their mother tongues are needed to be developed.
This study addresses the necessity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inmates, and proposed an option for language education. It is thought to be meaningful to assert that it is necessary to be treated as a branch of Korean education of specific purpose for foreign inma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inmates is expected to be discussed actively and developed in further studie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