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법 차이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 중 한 가지가 한국어의 부사어 표현이 중국어의 개사구와 대응할 때이다. 부사어를 이루는 성...
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법 차이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 중 한 가지가 한국어의 부사어 표현이 중국어의 개사구와 대응할 때이다. 부사어를 이루는 성분인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실은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중 양어가 보여주는 부사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그들 간의 대응규칙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한국어의 부사어는 부사, 부사격조사 등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중국인이 이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기가 힘들다. 동시에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울 때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부사어로 쓰이는 개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중국어 개사는 아주 다양하고 동사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기 때문에 혼용하기 쉽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한·중 양어의 방향 표시 표현어들을 체계적인 대응관계를 밝히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방향 표시 표현에 관계하는 기제들을 각 언어별로 살펴보고 각각의 기제들이 어떠한 제약조건과 의미기능으로 대응되는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양국의 언어 가운데서 오해의 소지가 크고 올바른 이해와 학습이 요구되는 중국어 개사의 일부를 그에 상응하는 한국어의 조사와 이를 중심으로 한 구절 표현들을 서로 대응시켜 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비교 연구함으로서 한·중 양어 학습자에게 이 부분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장은 연구 목적, 범위 및 선행연구이며, 2장은 방향표시 표현어의 개념과 기제 등에 대한 고찰을 한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방형표시의 방법, 즉 한국어 부사구와 중국어 개사구가 이루는 방법을 방향성의 의미별로 논의한다. 한국어 부사어에 관한 주요 학자들의 견해를 살피고 부사어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본다. 그리고 중국어 개사의 정의와 특정을 설명하고 어원적 문제도 살펴본다. 아울러 중국어에서 많이 혼용하는 방향성 개사들 중의 몇 가지를 방향성의 의미별로 대조·비교해 보았다.
제3장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방향표시 표현어의 개별적인 대응 관계를 각 기제별로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방향표시 표현어의 대응 관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대응 관계를 총괄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 결론에서는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각 장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