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인을 위한 학문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한국어와 터키어의 구어적 표현의 유사성에 착안하여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 말하기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터키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진...

연구는 한국어와 터키어의 구어적 표현의 유사성에 착안하여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 말하기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터키인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진행되었다.
한국어를 배우는 목적은 한국인 원어민과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이다. 그러나 터키와 같은 한국어 비노출 지역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적고 한국인과의 접촉도 쉽지 않다. 따라서 터키의 학습자들은 한국어 학습에서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전제 하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터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학문 목적 말하기 교육에 관한 연구, 요구 분석에 기반 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첫째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에 대한 이론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과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요구 분석에 관한 이론으로 학습자 중심 교육, 학습자 요구 분석, 요구 분석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터키의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문학 전공이 개설된 앙카라대학교와 에르지예스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세종학당을 비롯한 대학기관 외의 교육 기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학습자 요구 분석 및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자 요구 분석은 에르지예스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말하기 수업 분석은 연구자가 말하기 수업을 직접 참관하여 이를 관찰하는 동시에 녹음하고 이를 전사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5장에서는 4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6장에서는 5장을 토대로 터키인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터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터키인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한 최초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바로 적용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법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현지의 한국인 원어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못하였음이 아쉽다. 향후 터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motivated by similarities of colloquial expression between two languages Korean and Turkish. We focused on speaking skill, one of four skills of language. We aimed to improve Turkish learners' speaking competency who study Korean for ac...

This study was motivated by similarities of colloquial expression between two languages Korean and Turkish. We focused on speaking skill, one of four skills of language. We aimed to improve Turkish learners' speaking competency who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One of the purposes to learn Korean is to communicate with native Korean speakers fluently. However, Turkish people have a little chances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to contact with Korean people in that Turkish people are not exposed to Korean language. From this, we inferred that Turkish people have difficulties in improving their Korean speaking competency. The inference is prerequisite for our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

In Chapter 1, we spec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suggested the method and contents of it. We broadly divided previous studies as follows: (1)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ey, (2) studies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3) studies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based on a needs assessment.

Chapter 2 divided theoretical backgrounds into two parts. The one is the theory of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ncept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e other is the theory of needs assessment. We looked into learner-centered teaching, learner needs assessment, and the procedure and method for needs assessment.

In Chapter 3, we looked into a current stat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ey.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 state of Ankara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Erciyes, which opened a progra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n, we examined non-university education institutes including King Sejong Institute.

Chapter 4 conducted analyses of learners' needs assessment and the Korean speaking classes. To analyze them, we conducted surveys of first-year to fourth-year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University of Erciyes. We analyzed the Korean speaking classes in the following order: (1) sitting in Korean speaking classes, (2) observing and recording the classes, and (3) transcribing the records after the classes.

In Chapter 5, we proffered the analytical results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 5, Chapter 6 proposed a teaching methodology of the Korean speaking for Turkish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research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by needs assessments of Turkish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in a situation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Korean education in Turkey. We will leave the two things for the future study. The one is to develop a specific method which will be directly applicable to the Korean speaking classes for Turkish learners. The other is to conduct a survey of native Korean teachers in Turkey.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tud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e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