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al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to make themselves understood fluently.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help them communicate in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Most of all, Korean Second Language (KSL) learners can realize their situation exa... The goal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to make themselves understood fluently.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help them communicate in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Most of all, Korean Second Language (KSL) learners can realize their situation exactly and should express appropriately for a natural communication. The recognition of 'aspect' in a grammatical term well be required for the situation to be expressed suitably. This research can find the term of 'aspect' from final endings, Conjuctive endings, adnominal endings, and Auxiliary verbs in Korean grammar. KSL learners are often confused in understanding grammartical categorization of aspect since the express of both tense and aspect is similar in final endings, Conjuctive endings, adnominal endings, and Auxiliary verbs. But they are unlikely to feel that in learning Auxiliary verbs. That's why this research examines only two limited Auxiliary verbs, that is '-eo it-' and '-go it-'. In other words, this study deals with the expressive formal usage of aspect and the meaning of aspect through the recognition of aspect in KSL learners and through the writing '-eo it-' and -go it-. This research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describ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chapter 2 shows that the combined aspect of '-eo it-' and '-go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ceeding verbs to have realized condition of '-eo it-' and '-go it-'. This research results in the kinds of preceeding verbs and the aspect meaning of '-eo it-' and '-go it-'. In the chapter 3, This research investigates if KSL learners can find the preceeding verbs with '-go it-' and suitable expression of situation through the usage tests of '-go itta- in order to know their aspect recognition to use actually. And this recognition is shown to be expressed well in their real writings. This research analyzes '-eo it-' and '-go it-' and various errors on KSL learners' writings. In the chapter 4. The types of verbs were shown to be different by aspect recognition through the error anylysis of learners. They didn't make any mistakes in morphology '-eo it-' and '-go it-' in unsuitable contexts, which is asked to be careful in teaching method. It makes sure that for KSL learners to recognitze aspect canl help them to express situations appropriately. In a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s of KSL learners are, the more teaching and learning of 'aspect' recognition will be needed.
외국어 학습의 목표는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외국어교육에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 외국어 학습의 목표는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외국어교육에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상황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문법이 ‘상’에 대한 인식일 것이다. 한국어 문법에서는 ‘상’적 표현은 종결어미, 연결어미, 관형사형 어미, 보조용언 등에서 나타난다. 한국어에서는 종결어미, 연결어미, 관형사형 어미의 경우에는 시제와 상적 표현이 형태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상의 문법적 범주를 이해하는 데에 다소 혼란스러워 한다. 하지만 보조용언의 경우에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보조용언 ‘-어 있-’과 ‘-고 있-’의 경우로 한정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즉, 한국어 학습자의 상 인식과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 있-’과 ‘-고 있-’을 통하여 ‘상’적 표현 형태적 결합양상과 ‘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의 구성은 2장에서는 ‘-어 있-’과 ‘-고 있-’의 상적 실현 조건에는 ‘-어 있-’과 ‘-고 있-’의 선행하는 동사의 성격에 따라 결합양상이 달라진다. 그래서 선행하는 동사의 종류와 ‘-어 있-’과 ‘-고 있-’의 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학습자가 실제 인식하고 있는 상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고 있다’ 사용 양상 테스트지를 통해서 ‘-고 있다’와 결합하는 선행동사와 상황의 적절한 표현을 찾아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런 인식이 학습자의 실제 작문에서 적절히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고 있다’와 실제 작문에서 나타난 오류들을 분석해 보았다. 학습자의 오류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동사의 종류에 따라 상적 인식이 달라졌다. 그리고 형태적으로 오류가 없지만 상황에 맞지 않는 ‘-어 있-’과 ‘-고 있-’이 있었다. 이에 대한 것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주의해야할 점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상적 인식이 좀 더 상황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오류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래서 학습자의 수준이 나아질수록 ‘상’적 인식에 대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