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의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本論文的目的是通過對照語言學的措施, 來探讨韓國語形容詞‘크다/작다’和中國語形容詞‘大/小’的句法和意思的共同點和差異點. 第二章主要是對韓國語形容詞‘크다/작和中國玉形容...

本論文的目的是通過對照語言學的措施, 來探讨韓國語形容詞‘크다/작다’和中國語形容詞‘大/小’的句法和意思的共同點和差異點.
第二章主要是對韓國語形容詞‘크다/작和中國玉形容詞‘大/小’的文法中的共同點和差異點進行了探讨. 通過探讨總, 結出了韓國語形容詞‘크다/작다’和中國與形容詞‘大/小’共具有以下幾個共同點和差異點.
第一, 韓國語形容詞‘크다/작다’和中國語形容詞‘大/小’在文章中都可以作為谓语(서술어), 定语(관형어), 状语(부사어), 但是中國語形容詞‘大/小’在文章中也可以作為补语(보어).
第二, 中國語形容詞‘大/小’在文章中作為谓语(서술어)的時候形態上基本上是沒有變化的, 但是韓國語‘크다/작다’作為谓语(서술어)的時候形態上有很大的複雜變化.
第三, 韓國語形容詞 ‘크다/작다’在文章中作為定语(관형어)的時候, 一定要加上定语(관형어)語尾‘-은/ㄴ’, 中國語形容詞‘大/小’在文章中作為定语(관형어)的時候, 即可加上結構助詞 ‘的’, 也可以省略不加.
第四, 韓國語形容詞‘크다/작다’在文章中作為状语(부사어)的時候, 語干一定要加‘-게’, 但是中國語形容詞‘大/小’可以直接修飾動詞.
第三主要考察了韓國語形容詞‘크다/작다’和中國語形容詞‘大/小’的基本意思的對應情況以及對應的差異. 結果‘크다/작다’和 ‘大/小’在形容除‘人的身高’之外, 事物的寬度, 面積, 高度等都為一致. 在表現人的身高的時候韓國語只可以用‘크다/작다’來形容, 但是在中國語中除了可以用‘大/小’之外, 還可以用‘高/矮’來形容.
第四章通過整理的具有韓國語和中國語代表性的字典來整理綜合了韓國語形容詞‘크다/작다’和中國語形容詞的轉移意思, 繼而對照了它們的轉移意思. 單詞在具有固有的基本意思的同時, 在不同的文章和情況的使用中會產生意思轉移. 結果發現了‘크다’和‘大’的轉移意思的以下共同點和差異點. 在修飾‘規模, 程度, 優秀, 聲音, 高額, 誇張, 影響, 膽力, 決定, 業績, 排行, 可能性, 基準, 月數, 罪的時候, ‘크다’和 ‘大’之間是相互對應一致的. 在修飾‘大概, 進一步, 程度, 年紀, 敬辭, 天氣, 否定, 未婚, 時間, 強調, 味道’的時候是非對應的. ‘작다’和 ‘小’在修飾‘規模, 範圍, 聲音, 力氣, 度量, 量, 月數, 排行’的時候是對應的, 但在修飾‘能力, 往窄的範圍, 時間, 程度, 謙稱, 稱呼, 未滿, 小額’的時候是不對應的.
第五章對根據前面的內容分成的基本意思的對應特點和轉移意思的對應特點進行了考察.在基本意思中, 韓國語和中國語的形成了 一對多的對應特點,韩语论文题目,在轉移意思中分為 ① 空間性轉為實踐性, ② 空間性轉為比喻性공, ③ 空間性轉為慣用型, ④ 空間型轉為聽覺表現, ⑤ 空間性轉為嗅覺表現的五個特點.
最後在第六章整理了以上敘述的內容, 同時也展示了爲了可以得到更深入的探讨成果,繼而作者要進行的作業.

연구대조언어학적인 방법으로 한국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형용사 ‘大/小’의 통사·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조언어학적인 방법으로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의 통사·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의 통사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 사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는 문장에서 통사적으로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로 쓰일 수 있는 점은 같으나 중국어 형용사 ‘大/小’는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달리 补语(보어)로도 쓰일 수 있다.
둘째, 중국어 형용사 ‘大/小’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는 형태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 아주 복잡한 형태 변화가 있다.
셋째,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가 관형어가 될 때는 관형사형 어미 ‘-은/ㄴ’을 취함으로써 중국어 형용사 ‘大/小’는 관형어가 될 때 구조조사 ‘的’가 결합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넷째,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는 부사어가 되려면 어간에 반드시 ‘-게’를 붙여야 하지만 중국어 형용사 ‘大/小’는 직접 부사어가 되어 동사를 수식한다.
제3장에서는 이들의 기본의미의 대응 양상을 제시하면서 의미와 대응표현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고찰하였다. 결과 ‘크다/작다’와 ‘大/小’는 ‘사람의 키’를 제외한 사물의 넓이, 부피, 높이 등에서 대응의 일치를 보였으나, 사람의 키를 나타냄에 있어서 한국어에서는 ‘크다/작다’로만 표현하는 데 반해, 중국어에서는‘大/小’외에도 ‘高/矮’가 대응되는 현상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표적인 사전들에서 전이의미를 정리하여 종합적인 항목을 설정하고 한국어 ‘크다/작다’와 중국어 ‘大/小’의 전이 현상을 대조하면서 그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단어는 고유한 기본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 사용되면서 의미적 전이가 일어난다. 결과 ‘크다’와 ‘大’의 의미전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상속성이 ‘규모, 정도, 됨됨이, 소리, 고액, 과장, 영향, 담력, 결정, 업적, 항렬, 가능성, 기준, 날수, 죄’일 때, ‘크다’와 ‘大’는 대응을 이루었으나, 그 대상이 ‘대강, 대충, 나아가서, 정도, 나이, 경사, 날씨, 부정, 시간, 강조, 냄새’에서는 대응을 이루지 않았다. ‘작다’와 ‘小’에서도 그 대상 속성이 ‘규모, 범위, 소리, 힘, 도량, 양, 날수, 항렬’을 나타낼 때는 대응을 이루었으나 ‘능력, 범위를 좁힌다면, 시간, 정도, 겸칭, 호칭, 미만, 소액’에서는 대응을 이루지 않았다.
제5장에서는 앞장의 내용에 근거하여 기본의미 대응의 특징과 전이의미의 특징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기본의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일대다(一對多)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고, 전이의미에서는 ① 공간성에서 시간성으로의 전이 ② 공간성에서 비유성으로의 전이, ③ 공간성에서 관용성으로의 전이, ④ 공간성에서 청각표현으로의 전이, ⑤ 공간성에서 후각표현으로의 전이를 살펴보았다. ①~③은 추상적 의미전이이고 ④와 ⑤는 감각표현 의미전이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고 앞으로 더 깊은 연구 성과를 얻기 위하여 필자가 진행할 과제도 제시하였다.

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