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크다/작다'와 중국어 '大/小'의 통사적·의미적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rincipal object of this is to review syntactic,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djective '크다/작다' and Chinese Adjective '大/小' with contrastive linguistic method. In the chapter one we established the obje...

The principal object of this is to review syntactic,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djective '크다/작다' and Chinese Adjective '大/小' with contrastive linguistic method.
In the chapter one we established the objective of research and object of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syntactics and meaning for Korean Adjective '크다/작다' and Chinese Adjective '大/小' and provide study method.
In the chapter two we showed that syntac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djective '크다/작다' and Chinese Adjective '大/小'. And in the chapter three reviewed basic meaning of Korean Adjective '크다/작다' and Chinese Adjective '大/小'. This study considered the differences for aspect of confrontation on basic mea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Adjective '크다/작다' correspond with Chinese Adjective '大/小' on aspect of confrontation in terms of area, volume and height etc. except tall/ short meaning in Chinese.
In chapter four we summarized transferring meaning on Korean/ Chinese representative dictionary, set-up overall items, compared transferring meaning between Korean Adjective '크다/작다' and Chinese Adjective '大/小'. as a result, reviewed aspect of confrontation between them.
Finally, in the chapter five summarized results of this article, made a conclusion and suggested the future subject to get profound research result.

연구대조언어학적인 방법으로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 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의 통사적·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

본 연구는 대조언어학적인 방법으로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 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의 통사적·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을 설정하여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의 통사와 의미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 한국어 '크다/작다'와 중국어 '大/小'의 통사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한국어 '크다/작다'와 중국어 '大/小'의 기본의미를 제시하며 기본 의미의 대응 양상이 차이가 나는지를 고찰하였다. 결과는 한국어 '크다/작다'와 중국어 '大/小'가 사물의 넓이, 부피, 높이 등의 대응 양상이 일치한다. 다만, '사람의 키'를 나타냄에 있어서 한국어에서는 '크다/작다'로만 표현하는 반면에 중국어에서는 '大/小'말고 '高/矮'로 대응되는 게 더 자연스럽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표적인 사전들에서 제시하는 전이의미를 정리하여 종합적인 항목을 설정하고 한국어 '크다/작다'와 중국어 '大/小'의 전이 현상을 대조하면서 그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는 대상 속성이 '규모, 정도, 됨됨이, 소리, 고액, 과장, 영향, 담력, 결정, 업적, 항렬, 가능성, 기준, 날수, 죄, 대충, 대강'일 때, 한국어 '크다'와 중국어 '大'는 대응을 이루었으나, 그 대상이 '정도, 나이, 경사, 날씨, 부정, 시간, 강조, 냄새, 우수함'일 때에는 대응을 이루지 않았다. '작다'와 '小'에서도 그 대상 속성이 '규모, 범위, 소리, 힘, 가능성, 담력, 양, 날수, 항렬'을 나타낼 때는 대응을 이루었으나, '능력, 시간, 정도, 나이, 날수, 날씨, 겸칭, 호칭, 미만, 소액'일 때에는 대응을 이루지 않았다. 통사적으로 한국어 '크다/작다'는 일반적으로 문장에서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데 어떤 전이의미에서 관용어나 합성어를 이루는 데에 있어서 서술어나 관형어 한 가지의 기능만을 할 수 있으며, 또 어떤 전이의미에서 의미의 제한으로 인해 서술어와 관형어의 기능은 할 수 있는데 부사어가 될 수는 없다. 중국어 '大/小'는 대체적으로 문장에서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보어로 쓰일 수 있다. 그러나 '大/小'는 어떤 전이의미에서 관용어나 합성어를 이루므로 서술어나 관형어 한 가지의 기능만을 할 수 있으며, 또 어떤 전이의미에서 의미의 제한으로 인해 서술어와 관형어의 기능을 할 수 있는데 부사어로 쓰일 수 없다. 중국어 '大/小'의 전이의미와 한국어 '크다/작다'의 전이의미가 대응이 안 되는 경우에 통사적 기능도 대응이 안 된다. '날씨 상황'을 나타낼 때 중국어 '大/小'는 서술어, 관형어, 보어로 쓰일 수 있는데 한국어는 부사어로만 대응된다. 또한 '경사', '시간', '중요하다, 우수하다' 등의 의미를 표현할 때 중국어 '大'는 관형어로 쓰이는데 한국어는 각각의 접두사로 대응된다. 그리고 '겸손'의 의미를 표현할 때 중국어 '小'는 관형어로 쓰이는데 한국어는 겸손을 나타내는 대명사 '저희'로 대응되고, '小'가 관형어로 쓰여 친근함을 나타낼 때 한국어의 호격조사 '-아/야'로 대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고 더 깊은 연구 성과를 얻기 위하여 앞으로 진행할 과제도 제시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