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reading of well-being trend leads to various related food offer in the world markets for satisfying the consumers' requirement of leading at healthy life. Above all, the increasing desire to the well-being food, to the health and the directly re...
The spreading of well-being trend leads to various related food offer in the world markets for satisfying the consumers' requirement of leading at healthy life. Above all, the increasing desire to the well-being food, to the health and the directly related dietary life culture, is becoming the world tendency. Now, 'What to eat, how to eat' has become the critical subject.
Since 1992, with the beginning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s between the Korea and China, their commercial relationship has become closer than before. The technical skills differences and the awareness differences to the problem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ir cooperation and animated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e similar culture background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ics. With the increasing of the living quality, the consumers of the two countries are looking the healthy as more important than before.
Thus, this searched for the information inquire, awareness, purchasing motivation, purchasing state, purchasing intention to the well-being food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nd figured out the dominant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ing intentions to the well-being food.
The analyz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formation inquire to the well-being fo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 Chinese consumers showed significant higher degree of information inquire than that of Korean people. The frequently happened food safety accidents made the Chinese consum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information inquire about the safety food (well-being food). To the Korean consumers, the demographic variables led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gender, academic background, consideration to the health, diet experience. To the Chinese consumers, gender, monthly average allowance, consideration to the health, and the diet experience formed the main variables.
Secondly, the awareness to the well-being food between the consumers of the two countr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hinese consumers had higher conscious to the well-being food than that of the Korean consumers.
Thirdly, the results about the purchasing motivation to the well-being food showed that the Chinese consumers had stronger purchasing motivation in respect of 'health' and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at of Korean consumer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Fourthly, the results on the purchasing intentions to the well-being food indicated that the Chinese consumers had greater intentions than that of Korean consumers.
Fifthly, to the Korean consumers, the variables influenced the purchasing intentions to well-being food were the consideration to the health, purchasing motivation ('emotion'), and the awareness to the well-being food orderly. To the Chinese consumers, the awareness to the well-being food, information inquire, consideration to the health, purchasing motivation ('social responsibility'), purchasing motion {'health'), gender (female), and the diet experience in turn formed the main variables.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웰빙 트렌드의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시장에서 다양한 관련 상품들을 제공하게 하였다. 특히 건강과 직결된 식생활 문화에서 웰...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웰빙 트렌드의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시장에서 다양한 관련 상품들을 제공하게 하였다. 특히 건강과 직결된 식생활 문화에서 웰빙식품에 대한 욕구증대는 전세계적인 추세이며, 이제는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1992년부터 한국과 중국 교류를 시작한 후에 무역간 관계도 밀접해 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협력과 경제가 발전한 가운데 비슷한 문화배경의 기반에서 활발한 경제활동을 통해서 양국 간의 생산 기술력 차이와 제문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볼 수 있다.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른 양국 소비자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중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월빙식품에 대한 정보탐색, 인식, 구매동기, 구매실태, 구매의도를 살펴보고 웰빙식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소비자의 웰빙식품에 정보탐색을 살펴본 결과, 한국과 중국 소비자는 웰빙식품에 대한 정보탐색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보다 중국소비자들의 웰빙식품에 대한 정보탐색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경우 식품소비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중국 소비자들은 고품질 안전식품(웰빙식품)에 대한 정보탐색을 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소비자 웰빙식품에 대한 정보탐색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한국의 경우 성별, 학력, 건강의 관심도, 다이어트 경험이었고 중국의 경우 성별, 월평균용돈, 건강의 관심도, 다이어트 경험이었다.
둘째, 한·중 소비자의 웰빙식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한국과 중국 웰빙식품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보다 중국소비자들의 웰빙식품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 소비자의 웰빙식품에 대한 구매동기를 살펴본 결과, 한국과 중국 소비자는 '건강'에 대한 구매동기,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구매동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보다 중국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구매동기,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구매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과 중국소비자의 웰빙식품에 대한 구매의도 정도를 살펴본 결과는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가 향후 웰빙식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웰빙식품 구매의도에 대해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한국의 경우 건강의 관심도, 구매동기('감정'), 웰빙식품에 대한 인식 순으로 나타났고 중국의 경우 웰빙식품에 대한 인식, 정보탐색, 건강의 관심도, 구매동기('사회적 책임'), 구매동기('건강'), 성별(여자), 다이어트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