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한중 신체 관련 다의어의 의미 대응양상 연구
-‘손’, ‘발’과 ‘手’, ‘脚’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WANG SUXING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
국문초록
한중 신체 관련 다의어의 의미 대응양상 연구
-‘손’, ‘발’과 ‘手’, ‘脚’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WANG SUXING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인의 언어 습관과 한민족의 문화에 대해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해 양국어의 신체어휘의 의미적인 대비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신체어휘의 대비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양국어의 언어습관과 문화의 발전 방향을 더 잘 이해시키고,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구사하는 능력에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신체어 중에서 ‘손’과 ‘발’을 골라, 그 다의적인 의미 대응 양상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한⦁중 학계에서 신체어에 관한 선행연구와 한⦁중 신체어의 다의적인 의미 비교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체어 관련 연구는 국어학계에서 많이 이루어졌지만 한⦁중 다의적 의미의 대조, 비교분석에서는 여전히 미진한 경향이 있다.
2장에서는 다의어의 의미 확장 기제와 신체어휘의 다의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어휘의 의미 확장은 사람들의 인접성 인지능력과 유사성 인지능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인접성 인지능력은 ‘환유’라고 부르기도 하며, 유사성 인지능력은 ‘은유’라고도 한다. 의미 확장의 기제에 대한 내용을 본 연구에서 여러 가지 예를 들어 기술하였다. 또한, 신체어의 다의성에 대하여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예를 들어 설명과 논증을 하였다.
3장에서는 본고에서 연구할 대상의 범위를 분류하고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과 중국 총 6개 대학교에서 편찬한 교재 중에 나타난 ‘손’과 ‘발’에 관한 단일어, 합성어, 관용어 등의 표현을 뽑아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이로 인해 다음 장에서 연구할 대상을 확립한다. 또한, 각 대학의 교재에서 신체어 관련 다의어의 제시 상황을 각각 분석하고 재검토를 한다. 둘째는 말뭉치와 사전을 이용해서 교재에 다루지 않은 내용을 보완한다.
4장에서는 한⦁중 양국어의 ‘손-手’와 ‘발-脚’에 관한 표현 방식 및 의미 대응 양상에 대해 구체적인 비교 분석을 하였다. 우선, 한⦁중 사전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의미 항목을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이로 인해 양국어의 ‘손-手’와 ‘발-脚’의 의미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볼 것이다. 그런 후에 비교의 기준을 완전 일치, 부분일치, 불일치 나누고 순서대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살펴본 내용을 정리해 보면 신체어 ‘손’과 ‘발’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미가 동일한 것이 많은데, 이것은 한⦁중 양국민들이 ‘손’과 ‘발’에 대한 인식과 언어를 사용하는 습관이 어느 정도 비슷하다고 결론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렇지만 양국어는 몇 가지 특정한 언어적인 환경과 문화적인 분위기에 따라 신체어의 사용이 다르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손’은 중국어의 ‘手’보다 ‘손질’, ‘시기, 기회’ 또는 ‘노동력’ 등의 확장 의미를 많이 가지며, 중국어의 ‘手’는 한국어 ‘손’보다 ‘방법, 방면’, ‘절차, 순서’ 등 확장 의미를 갖는다. 한국어의 ‘발’은 중국어의 ‘脚’보다 ‘교제’, ‘관계’ 등의 의미를, 중국어의 ‘脚’은 한국어 ‘발’보다 ‘사람’, ‘남은 부분’ 등의 의미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인다.
5장에서는 논의를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짚어본 후 추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