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고 어려워하는 기술이 쓰기이다(김정숙, 2000). 특히 학위 과정에서 중요한 쓰기 결과물을 산출해야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쓰기 능력 숙...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고 어려워하는 기술이 쓰기이다(김정숙, 2000). 특히 학위 과정에서 중요한 쓰기 결과물을 산출해야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쓰기 능력 숙달도를 높이는 한편 학위논문이라는 담화공동체의 특별한 의사소통적 목적을 충족해야하는 장르적 특징을 단시간에 익혀야 할 필요가 있어 그 어려움은 더욱 크다. 이들에게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을 통해 제한된 시간 내에 명시적으로 필요한 쓰기 능력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학위논문은 박은선(2006) 및 김영규와 이은하(2008)에서 서론 부분에 대한 장르 분석만이 이루어져, 학위 논문을 장르 중심 쓰기로 교수하기에 큰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부분들의 장르 분석 연구가 뒤따를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methods section)은 종종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고 간단한 것으로 간주되지만(Swales, 2004), 연구 설계, 자료 수집 과정 및 자료 분석 과정을 묘사하고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여 연구를 정당화하는 실제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학위논문 연구방법은 실제 역할의 중요성에 비해 과소평가되고 있으며, 학습자들은 그 기능과 구조를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 짧은 연구 보고서와는 달리 학위논문에서 연구방법의 중요성은 더 크다. 연구자로서 학습자들은 분명하고 상세하게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자신의 연구를 정당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 학위논문 연구방법을 분석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쓰기에 실제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응용언어학 분야의 학위 논문을 장르 분석한 Bitchener(2010)의 연구방법 부분 이동마디-단계 분석 모형이 실제 한국어 교육 분야 학위논문 연구방법에 적용 가능한지 밝히고, 분석결과에 따라 일반화된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연구방법 구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았으며, 각 이동마디-단계에 등장하는 정형화된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수도권 8개 대학의 한국어 교육관련 석사학위 논문 중 IMRD의 구조를 지닌 것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위논문 50편과 한국어 학습자의 논문 18편을 선정하였다.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 자료 분석 전에 평정자 집단을 이용한 평정자 훈련과 교섭의 과정을 거쳤다. 또한 예비 분석을 통하여 예비 연구 단계를 평정할 수 있는 이동마디 P2(예비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 과정)를 포함하여 분석의 틀을 Bitchener/1 모형으로 수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교육 석사학위 논문 연구방법은 Bitchener/1의 이동마디-단계 모형에 나타난 이동마디 중 이동마디 2와 3은 높은 빈도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동마디 1은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Bitchener(2010)의 도구로는 평정하기 어려운 예비 연구 자료 수집 절차, 연구 절차 등의 구성요소가 분석 결과 높은 빈도로 나타나 새로운 이동마디-단계의 추가 필요성이 보였다. 이는 Bitchener(2010)의 이동마디-단계 모형이 한국어 교육 학위논문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모든 연구방법은 몇 개의 소제목으로 절의 내용을 나누어 서술하는데, 이 때문에 Bitchener(2010)가 제시한 이동마디 1-2-3의 순서를 정확히 따르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에 따라 한국어 교육 학위논문 연구방법의 일반화된 모형을 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동마디-단계의 빈도 분석 비교표를 통해 살펴 본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간의 차이점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는데, 모어 화자의 논문에서 빈도가 높게 나타난 이동마디-단계는 학습자의 논문에서도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학습자의 논문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은 이동마디-단계의 수가 모어 화자에 비해 많고, 사용 빈도가 높은 이동마디-단계에 편중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학습자에 비해 모어 화자가 더 다양한 이동마디-단계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어 화자가 연구방법 정당화에 좀 더 적극적이며, 이동마디-단계의 기능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소제목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이동마디-단계의 정형화된 표현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학위 논문 연구방법의 이동마디-단계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지만, 분석을 하면서 각 이동마디-단계를 드러내는 정형화된 표현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형화된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가 석사학위논문 연구방법을 기술할 때 유창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교육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방법 부분을 분석한 것으로 이 장르 분석의 자료는 한국어 교육 쓰기를 위한 자료로 쓰일 것을 기대한다. 무엇보다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인 유학생들의 학위논문 쓰기를 위한 교육 자료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