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용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is to analyze Korean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provide direction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The problem with existing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y did not exactly Korea...

The purpose of this is to analyze Korean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provide direction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The problem with existing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y did not exactly Korean textbook users. Second, they did not analyze lots of textbooks. Third, they did not provide specific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not because of systematic analysis criteria. Therefore this collected 14 textbooks and analyze them based on systematic analysis criteria.
The principle findings of this are as follows:
First, this sets analysis criteria of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nd examine the suitability of textbook.
Second, it examines if Korean textbooks are learner-centered or not through the survey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interview to teachers who taught multi-cultural students. It specifically presents direction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is discussion, Chapter 2 examines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categor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and direction of setting textbook analysis criteria. Chapter 3 collects suitable Korean textbooks, and sets up analysis criteria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nd analysis criteria Korean demand survey. In chapter 4, it finds out direction how to develop Korean textbook.
Main discussion of thi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students was diverse. The level of Korean communication was various through teacher interview. And the length of residence was main factor to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when it analyzed results of students survey as the type of multi-cultural families, place of birth, the position of Korean and the length of residence. Therefore Korean textbooks had problem because they simply refer textbook users to multi-cultural students or students of foreign worker families.
Second, it analyzed Korean textbooks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s a result, they didn't mention specific targets. And they were neglected in evaluation, listening materials and parents culture.
Third, multi-cultural students rated their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highly. And they thought that Korean textbooks was easy.
Fourth, it proposed direction how to develop Korean textbook. They need clear set about textbook users. They need to determine the exact level to users. Korean functional textbooks are required. And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production step and evaluation step in configuring units. Also appendix, manual books, CD, audio-visu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Korean textbooks. Lastly text in that multi-cultural students know parents culture should be in Korean textbooks.
This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base data to develop Korean textbook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stimate Korean textbooks for them. In setting exact goal and users, it looks forward to developing Korean textbooks that school utilize wisely.

연구는 현재까지 개발된 다문가정 학생 대상 한국교재를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한국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

연구는 현재까지 개발된 다문가정 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를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 다문화 가정 학생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연구들은 첫째, 다문화 가정 학생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지 못해 한국어 교재의 사용자를 정확히 분석하지 못했다. 둘째, 분석 대상 교재가 적어 한국어 교재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는 데 무리가 있었다. 셋째, 분석 기준이 체계적이지 못해 교재 개발을 위한 방향 제시가 구체적이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개발된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용 한국어 교재 14종류를 수집하고 체계적인 분석 기준을 세워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논의했다. 첫째, 내․외적 구성에 따른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초등학생용 한국어 교재의 적합성을 파악한다. 둘째, 학습자 중심의 교재인지를 다문화 가정 학생 대상 설문 조사와 지도 교사 대상 심층 면접을 통해 파악한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의 유형과 교재 분석 기준 설정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범주와 한국어 교재 분석 기준 설정 방향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 논의했다. Ⅲ장에서는 대상 교재를 선정하고 교재 내․외적 구성에 따른 분석 기준과 한국어 요구 조사에 기반 한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기준을 토대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재 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 논의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한국어 능력 및 학교에서의 국어 성적은 천차만별이었다. 우선 지도 교사 대상 심층 면접을 통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이 매우 우수한 학생부터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학생까지 그 수준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설문 조사의 결과를 다문화 가정의 유형, 태어난 장소, 한국어의 위치,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한국에 거주해 온 기간이 한국어 능력 결정에 주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한국어를 제2 언어로 가지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가정 학생보다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어를 모국어로 가지고 있는 국제 결혼 학생의 경우 한국어 의사소통에서는 당연히 높은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학교 국어 성적 또한 중위권 이상의 학생이 많았다. 그리고 거주 기간이 긴 외국인 근로자 가정 학생의 경우에는 한국어로의 의사소통에는 불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재 사용자를 단순히 다문화 가정 학생 혹은 외국인 근로자 학생으로 언급하고 있는 현 한국어 교재들에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사용자 설정에 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제기할 수 있었다.
둘째, 교재 내․외적 구성에 따른 분석 기준으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교재 내적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재들의 대다수가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없었다. 단순히 ‘외국인 근로자 가정 학생’이나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으로 범주를 나누어 학생들의 다양한 한국어 능력을 반영하지 못했다. 그리고 교재들의 목표가 학생들의 기초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교재가 많았다. 교재 구성에서도 단원 구성 시 연습 단계에 치중이 많이 되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생산 단계나 정리 및 평가 단계는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학습 내용의 경우 초등학교 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많았으며 문법은 체계성이 부족하였고, 발음의 경우 대부분의 교재에서 등한시하는 학습 내용 중 하나였다. 담화는 학생 또는 학부모와 함께 이야기 나누며 생각을 주고받는 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문화의 경우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기술로 교재를 분석하였을 때, 의사소통 중심 교재 또는 한국어 습득 교재가 대부분이라 간단한 단어나 문장을 보고 소리 내어 읽거나 쓰기, 학습 목표와 관련된 말하기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이런 이유로 실제 듣기 자료는 교재에서 싣고 있지 못했으며 읽기 교재의 경우도 글을 읽고 내용 파악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 그리고 쓰기의 경우도 결과 중심 글쓰기가 대부분이었다. 학습 평가와 피드백 부분도 교재에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재 외적 구성에 따른 분석 결과 많은 교재가 ‘학년’으로 학습자를 구분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학생의 설문 조사와 교사의 심층 면접 결과 저학년 학생인 경우에도 한국어가 뛰어난 학생이 많았다. 이런 학생의 경우 자모 중심인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는 그들에게 매우 쉬운 교재로, 그 수준이 맞지 않았다. 또한 지도서나 관련 CD 등의 교재 꾸러미 자료나 부록 등 교재 도움 자료가 많지 않아 한국어 지도가 단어나 문장을 읽고 쓰는 단순 활동으로 그칠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