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의 교육 방안 연구 :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양태부사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반영하는 부사라는 점에서 정확하게 사용해야 의사소통을 제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가 양태부사를 배울 때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내...

양태부사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반영하는 부사라는 점에서 정확하게 사용해야 의사소통을 제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가 양태부사를 배울 때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내용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양태부사는 한국의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고 있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어휘의 뜻을 알고자 할 때 『표준국어대사전』에 흔히 의존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사전의 뜻풀이만으로는 이들 어휘의 의미와 용법을 구별하기 어렵다.
연구에서는 의미상으로 유사 관계에 있는 추측의 양태부사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의 통사·의미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추측의 양태부사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의 통사 의미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먼저 사전의 뜻풀이를 바탕으로 어휘 의미적 비교를 하였지만 설명이 너무 추상적으로 되어 있어서 그 차이점이 다 드러나지는 않았다. 그리하여 <21세기 세종계획> 형태 분석 말뭉치를 통해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의 결합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의미의 차이를 밝혀보고자 했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용 통합 교재 분석을 통하여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가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교수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러나 교재 분석을 통하여 추측의 양태부사의 통사 의미적 기능에 대한 교수·학습이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의 통사·의미적 기능 변별을 쉽게 할 수 있는 시각자료의 중요성과 유의미한 과제 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의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들 어휘의 통사·의미적 기능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발화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추측의 양태부사 ‘혹시’를 중심으로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어쩌면, 아무래도, 설마’는 제외하였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추측의 양태부사 의미와 쓰임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Communication can be made properly when an adverb of manners is accurately used as a adverb reflecting a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learning an adverb of manners more accurately and systematically when a Korean lea...

Communication can be made properly when an adverb of manners is accurately used as a adverb reflecting a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learning an adverb of manners more accurately and systematically when a Korean learner learns it. But, an adverb of manners is not sufficiently dealt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foreigners even though it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Korean communication.
There are many cases that foreign learners often depend on a dictionary when they know a meaning of a word. But,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a meaning of a vocabulary from its usage only with an explanation of a meaning in a dictiona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n adverb of manners in conjecture with similar relations in meaning such as 'ama, eojjeomyeon, hoksi, amuraedo, seolma'. This study also tended to present an educational plan to teach Korean learners by applying this to Korean education.
In Chapter II, the study reviewed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 of 'ama, eojjeomyeon, hoksi, amuraedo, seolma' an adverb of manners in conjecture. First, semantic comparison of vocabularies was made based on explanations of their meanings in a dictionary. But, since explanations were made too much abstractly, the differences were not all shown. For this reason,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meanings by reviewing their connections of 'ama, eojjeomyeon, hoksi, amuraedo, seolma'. through a corpus of analyses in a form of <The 21st Century Seojong Plan>.
In Chapter III, the study searched how 'ama, eojjeomyeon, hoksi, amuraedo, seolma'. were presented and instru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analysis on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earning. But, it was discover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of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an adverb of manners in conjecture were not sufficient yet through analysis on teaching materials. In this sense, the study was able to identify significance of visual data and importance of significant task activities that Korean learners could easily distinguish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ama, eojjeomyeon, hoksi, amuraedo, seolma'.
In Chapter IV, the study presented a real educational plan of 'ama, eojjeomyeon, hoksi, amuraedo, seolma'. It proposed a concrete teaching model that Korean Learners could understand and show differences in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se vocabularies.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model up to the stage of introduction, presentation, and practice and excluded the usage and finish stage based on an adverb of manners in conjecture, 'ama, eojjeomyeon, hoksi, amuraedo, seolma'. It was viewed that there would be a need of continuous studies making meanings and usage of an adverb of manners in conjecture understood clearly in the futur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