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만족도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을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만족도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과학기술부의 외국인 유학생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유치 계획,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 행태와 대학도서관 이용에 관련된 실태를 알아보았다.
셋째, 각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탐색 및 전화, 이메일을 통해 현재 대학도서관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서비스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넷째, 서울시내 대학 중 외국인 유학생 수가 2,000명 이상이고, 외국인 유학생 대상 서비스가 주기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4개 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각 학교 50명) 총 200명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이용만족도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SPS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 이용만족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대학 외국인 유학생 서비스 담당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서 어려운 점,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 및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을 활성화 시키고,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구체적인 조사 결과와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 이용만족도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우수한 시설, 공간이 주는 안락함과 인적인 서비스에 만족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을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측면, 디지털 정보원 활용에 관해서는 인식과 참여율이 모두 낮았다.
둘째, 학교별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이용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응답자 전원이 중국인인 학교의 경우 다국어 홈페이지나 이용교육에 대한 요구가 많았고, 이에 비해 공학계열 응답자나 대학원 응답자의 비율이 많은 학교의 경우 학술적인 정보 안내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셋째, 출신국가별 이용만족도를 분석해 본 결과, 비아시아권 국가 응답자의 만족도가 아시아권 국가 응답자의 만족도보다 높았으며, 특히 정보접근, 규칙과 절차, 다국어 홈페이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전반적으로 영어에 친숙한 정도와 관계가 있어 보인다.
넷째, 학력별로 이용만족도를 분석해 본 결과는 대학원생이 학부생에 비해 도서관 이용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특히 도서관직원에 대한 만족도, 온라인 학술자원이용에 대한 만족도, 기계이용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전공별로 이용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는 공학계열 응답자들이 기계사용과 관련한 만족도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문항에서 인문사회과학, 상경계열 응답자 보다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특히 온라인 학술정보이용에 관한 만족도가 낮았는데, 자료의 최신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국외자원을 주로 참고하는 전공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서 도서관이 좀 더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 그 활용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한국어 능력별로 이용만족도를 4개의 수준으로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어 능력이 좋을수록 도서관 만족도의 평균은 높게 나왔으나, 일정하지는 않았다.
일곱째, 도서관 이용 빈도별 이용만족도를 분석해 본 결과 도서관 이용을 많이 할수록 도서관 직원들의 친절함에 대한 만족도와 도서관 검색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도서관의 규칙과 절차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 빈도와 비례하지 않았다.
이상의 설문결과와 외국인 유학생 담당 사서들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을 활성화 시키고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7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examine and analyze Korean university’s library service for their international students, but also to provide possible solution for encouraging the number of international library users based on this stud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