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의 일상 언어생활이 실제로 구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점과 한국어 문법에서 주요한 문법 범주의 하나인 ‘종결 표현’이 문어와 구어에서 큰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에 주... 본 연구는 우리의 일상 언어생활이 실제로 구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점과 한국어 문법에서 주요한 문법 범주의 하나인 ‘종결 표현’이 문어와 구어에서 큰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에 주목한 구어 연구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구어 담화에서 한국어 종결 표현이 실현되는 양상을 밝히고 이를 교수․학습에 적용시켜 학습자들이 한국어 종결 표현에 대한 구어 문법 능력을 갖추는 것은 물론 실제 담화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나아가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담화 문법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종결 표현의 개념을 설정하고 종결 표현의 기능과 특성을 살폈으며 기존에 문장종결법과 상대 높임으로 분류되던 한국어 종결 표현을 발화 의미의 개념을 도입하여 발화 의미를 중심으로 재분류하고 구어 담화에서 말하는 이의 발화 의미를 [약속], [시킴], [권유], [알림], [물음], [추측], [이유], [감탄], [강조] 등 9개로 체계화했다. 또한 중국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종결 표현 교육의 실태를 교재와 학습자 인식 조사 및 구어 담화에서의 학습자 사용 오류 실태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교재들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 표현은 문법 범주 설정에서, 교육 내용에서, 제시 방법에서, 문법 기술 방법에서, 연습 활동의 유형에서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에서도 드러나는데 학습자들은 한국어 종결 표현에 대한 범주적인 지식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했으며 사용의 측면에서 다양한 종결 표현의 담화에서의 쓰임을 잘 몰라 간단한 것만 사용하고 종결을 하지 않고 발화를 끝맺는 경우가 많다는 점들을 지적하고 있으며 자신의 언어와 한국인 모어 화자들의 언어에 괴리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구어 담화에서의 학습자의 종결 표현 사용 오류 실태는 단일케이스 분석 방법으로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종결 표현을 잘못 사용하여 발화 의미가 제대로 실현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Ⅲ장의 발화 의미별 종결 표현 사용 양상 분석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말해 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또한 Ⅳ장에서 구어 종결 표현의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교육 내용을 구성하며 나아가 교수․학습의 실제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구어 종결 표현 항목을 선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문법 항목과 연구자가 직접 구축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최고급 학습자의 구어 담화 자료에서 실현되는 종결 표현의 형태와 빈도를 함께 고려하여 3단계의 재구성 과정을 거쳐 본 논문에서의 구어 종결 표현 항목을 선정했다. 그리고 이 문법 항목을 발화 의미를 중심으로 재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했으며 발화 의미별로 학습자들의 종결 표현 사용 양상을 살피고 개별 종결 표현의 담화 문법 정보를 제시했다. 발화 의미별로 학습자들의 종결 표현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감탄] 발화 의미를 실현할 때 가장 높은 발화 의미 실현 비율을 보였으며 [추측] 발화 의미를 실현할 때 가장 낮은 발화 의미 실현 비율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습득의 문제로만 해석할 수는 없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한국어에서 [감탄] 발화 의미는 기타 문법 표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적으며 대부분 종결 표현을 통해 실현되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적극적이고 성공적인 산출을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추측] 발화 의미의 경우 한국어에는 추측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법적 표현들이 발달되어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 외에 [약속], [이유], [강조] 발화 의미 실현 비율은 50%를 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앞으로의 교수․학습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 결과를 앞서 진행한 교재 분석,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와 결부하여 Ⅳ장에서 한국어 구어 종결 표현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근거하여 범주적 접근에서의 교재 구성과 개념․기능적 접근에서의 교재 구성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나아가 교수․학습의 실제에서는 학습자들이 종결 표현의 범주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담화 상황에서 종결 표현의 적절한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별 종결 표현의 형태, 의미를 발화 의미와 연계하여 상황 맥락 속에서 학습자에게 반복 사용의 경험을 주고 의사소통 상황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적인 과정을 거쳐 담화에서의 적절한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구체적으로 고급 단계에서의 하․상향식 절충 교수 모형을 근거로 수업의 실제를 구성하고 나아가 수업 지도 효과를 검증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문종결과 더불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한국어 종결 표현을 담화 문법 관점에서 발화 의미를 중심으로 체계를 세웠다는 점, 그리고 하나의 발화 의미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결 표현 항목을 제시하고 그 항목들이 쓰이는 담화 맥락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에게 종결 표현이 담화 상황 속에서 실현되는 양상을 보여 주고 담화 상황에서의 사용에 초점을 맞춘 교수․학습의 과정을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