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이 연구에서는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이 연구에서는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국내 체류 외국인 비율 중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밝혔다. 특히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과는 달리 한국인으로서 생활하게 된다는 이들의 특성상 장기적 관점에 따른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실제 각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이 논문에서 분석 대상이 된 주된 교재는 여성가족부와 국립국어원에서 출간된 것으로 대부분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교재가 말하기 교육에 중심을 두었고 쓰기 교육에 있어서는 단순한 문법 확인을 위한연습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 또한 지적되었다. 이는 많은 학습자들이 중·고급 단계로 갈수록 보다 고급화되고 현실적인 쓰기 교육 내용에 대한 학습 요구가 높고, 특히 한국어 쓰기에 대한 어려움이 크다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현실과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3장에서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1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제 학습자들의 요구와 각 단계에 맞는 쓰기 교육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영역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많은 학습자들이 한국어 쓰기 영역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중·고급 학습자와 자녀가 있는 학습자일수록 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배우고자 하는 쓰기 교육에 있어서는 초급 학습자는 말하기와 연관된 쓰기, 중·고급 학습자는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쓰기, 나아가서는 취업을 위한 고급화된 쓰기에 더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킴과 동시에 단계별 쓰기 교육의 내용도 차별화 시켜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4장에서는 학습자의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각 단계별 학습 목적에 따른 방법과 내용을 차별화시킨 한국어 단계별 쓰기 활동과 목적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쓰기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 속에서 변화의 주체인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보다 고급화된 한국어 쓰기를 학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teach the written Korean language to foreign-born women who reside in S. Korea after they had married Korean-born men.
Chapter 1 explains the necessity of this training as the numbe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conti...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teach the written Korean language to foreign-born women who reside in S. Korea after they had married Korean-born men.
Chapter 1 explains the necessity of this training as the numbe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continue to increase annually. In addition, it identifies the unique need of these women from the local women as they are likely to become permanent residents; therefore, a long-term planning in education is required.
In Chapter 2, it describes how I reviewed the training programs designed for these women, analyzed the training materials, and identified the problems. Most of the examined teaching materials were published by the Bureau of Women and Family,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Language Studies, thus, these are written for the entry level students. In addition, these books are focused on speaking Korean, but not on writing except self-examination of the grammar. These two findings point out that the teaching books do not meet the need for higher level of education to assist their children’s academic requirements while their writing skills stay behind the real needs.
Chapter 3 describes the surveys conducted of 120 female marriage immigrant who reside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Based on this survey, I analyzed if the teaching materials meet the needs of these women. First, they were asked how interested they were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is resulted in an unexpected level of high interest to learn writ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ose who have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showed a higher yearning to learn. They expressed a desire to learn speaking and writing in entry level; writing skills to apply to their daily activities, assist their children’s study, and to apply for jobs. This confirms the importance of training in writing Korean and different levels of training needed.
Accordingly in Chapter 4, I recommended the different levels of teaching in writing Korean to reflect their needs for higher training. This also confirms that we should not limit their teaching in writing to the entry level, but to expand it to the higher levels.
In conclusion, I expect to see more organized teaching programs for th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as they will affect our next Korean generation.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