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격식체 문장 사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다양한 유형의 한국어 격식체 문장을 사용할 때 어떤 특성...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격식체 문장 사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다양한 유형의 한국어 격식체 문장을 사용할 때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한국어 문장 종결의 특징과 격식체 및 비격식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 후에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비격식체 문장을 격식체 문장으로 전환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간접인용문의 격식체 문장 사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격식체 문장 사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격식체 문장에서도 비격식체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평서문의 격식체 종결어미나 비격식체 종결어미를 다른 유형의 문장에서도 사용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에게는 평서문의 격식체가 상대적으로 익숙하고 다른 문장의 유형에 대해서는 학습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비격식체의 영향으로 인해 동사의 기본형을 혼동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이는 격식체 종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데 있어 형태가 부정확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넷째, ‘-ㅂ니다/습니다’나 ‘-ㅂ니까/습니까’와 같이 받침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종결어미의 선택 시 어려움을 보였다. 이로 인해 많은 형태적 오류를 초래하였다. 다섯째, ‘합쇼체’ 대신에 ‘해라체’를 사용하는 등 존대의 정도에 따른 격식체 어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여섯째, 일부 학습자의 경우 격식성(formality)과는 무관하게 비격식체의 높임 어미를 사용함으로써 비격식체를 격식체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이는 격식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격식체와 높임법을 동일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곱째, 격식체 문장에 사용된 시제가 원 문장(source sentence)의 시제와 다르게 나타났다. 즉, 비격식체 문장을 격식체 문장으로 전환하면서 선어말어미 ‘-겠-’이나 ‘-었/았-’을 첨가하거나 탈락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격식체 문장을 교육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격식체 문장을 사용하는 데에 나타나는 특성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중국인 학습자들의 격식체 문장 학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usage characteristics of formal sentence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this study, different types of formal sentences written by Chinese learners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error patte...
This study aims to examine usage characteristics of formal sentence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this study, different types of formal sentences written by Chinese learners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error patterns.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Chinese learners in which they were asked to change non-formal sentences into formal on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elpe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sentences produced by Chinese learne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hinese learners used non-formal final endings in formal sentences. Secondly, they used both formal and non-formal final endings that belonged to a declarative sentence in other types of sentences too. Thirdly,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using proper verb forms. Fourthly, they had problems in selection of proper final endings. Fifthly, they lacked understanding of how to properly use different formal endings. Sixthly, some learners used formal forms regardless of the formality of the sentence. Seventhly, tense used in the formal sentence was different then the one in the source sentence.
The study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a future teaching plan of Korean formal sentences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investigate further into the use of formal sentences by Chinese learners and provide better teaching methods targeted at them.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