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초급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동영제작 과제활용한 교육은 중국어, 영어와 같은 외국어 교육은 물론 미술, 과학, 음악 등 여러 방면에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만큼 동영제작 과제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고 ...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교육은 중국어, 영어와 같은 외국어 교육은 물론 미술, 과학, 음악 등 여러 방면에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만큼 동영상 제작 과제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이미 만들어진 동영상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 외에 제작 관련 연구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동영상 제작 과제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대상 및 방법에 대해서 밝혔다. 또한 기존 선행 연구의 한계를 살펴보고 이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2장에서는 동영상 제작 과제의 교육적 효과와 이론적 배경이 되는 구성주의 학습과 과제 중심 학습을 살펴보았다. 동영상 제작 과제의 교육적 효과로는 첫째,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한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 효과가 있다. 셋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 넷째, 교수-학습을 위한 사전 데이터의 역할을 한다. 다섯째, 제작이 쉽고 확장이 용이하다. 이상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출판한 대표적인 교재를 선정하여 초급 교재에서의 과제 유형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교육 기관에서 활용되는 과제 유형을 살펴보고, 문제점과 함께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영상 제작 과제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4장에서는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실시하고 실험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질문지 조사를 통해 본 수업의 긍정적 효과와 유의할 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다양한 실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이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그에 따른 결론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Education utilizing the task of making videos is widely used not onl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and English but also in art, science and music educations. It means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video-making task is generally acknowledg...

Education utilizing the task of making videos is widely used not onl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and English but also in art, science and music educations. It means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video-making task is generally acknowledged. However, studies on utilizing the task of making videos in Korean-language education are not 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will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tilizing the task of making videos for elementary Korean-language learners.
Chapter 1 points out that there are some existing studies on utilizing existing videos in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the new production of videos or the utilization of the videos in education. Then the purpose, necessity, study objects and study method of the video-making task study are described. In addition,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has closely studied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has been emphasized.
Chapter 2 explored the educational effect of video-making task,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tructivism and the task-focused learn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video-making task are summarized in five, which are; first, the video-making task stimulates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learners, second, it has the effect of self-led learning, third, it improves communication capability, fourth, it does the role of advance data for teaching/learning and fifth, the production is easy and the expansion is convenient.
Chapter 3 chose representative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language educating agencies and analyzed the task types in the elementary-level textbooks. The task types at current education agencies had been reviewed and outstanding issues were drawn. Then the introduction of video-making task to complement such issues is suggested.
Chapter 4 suggested the class model utilizing the video-making task. Actual classes had been done based on the class model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with the test class learners. The positive effects and the points which should be noted are reviewed. Then the practical class method utilizing the video-making task for the elementary learners is suggested.
Chapter 5 summarized the study contents and gave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