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는 한국의 언어발전사에 있어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여 한국어 어휘체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한자를 기초로 한 한자어는 한국어 어휘체계의 70%이상을 차지한다. 그 중 대부분의 ...
한자어는 한국의 언어발전사에 있어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여 한국어 어휘체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한자를 기초로 한 한자어는 한국어 어휘체계의 70%이상을 차지한다. 그 중 대부분의 단어는 문법과 의미상 중국어와 일정한 연관성을 갖는다. 그러나 한국어에 정착된 한자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독립적인 어휘체계를 형성하였다. 본고는 이런 상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하다'를 기초로 한 267개 1음절 한자어를 중심으로 중국과 한국의 1음절 한자어가 문법과 의미상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하였다.
문법적인 대조에서는 중국어 한자를 품사 기능에 초점을 맞춰 1품사 한자, 2품사 한자 및 3품사 이상의 한자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들이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동사는 동작성어근, 형용사는 상태성어근, 명사는 명사 혹은 관형사로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지만, 문법적 기능이 변화되는 예도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특히 2품사 이상의 한자의 경우 품사 축소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동사와 형용사가 같이 있는 한자는 동작성어근으로 통일되어 대응되는 경향이 높으며, 명사와 기타 부사 등의 품사가 중복된 경우는 명사로 단일화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에 정착되면서 한국어 어휘 체계에 동화된 결과라고 이해하였다. 반면 품사가 늘어나는 경우는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명사의 경우가 관형사, 접사 등으로 세분화된 예가 있으나 이는 명사의 자율성이 축소됨으로써 나타난 현상이므로 결국 용법의 제한이라는 점에서는 축소의 방향과 원인 면에서는 동일하다.
의미상의 대조에서는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확대형, 축소형, 확대/축소형 및 동일형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그에 해당되는 한자어의 예와 용법을 제시하였다. 의미 분석에는 주관적인 판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의 의미 기술을 중심으로 대조하였다. 특히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의미가 중요하다 판단하여 확대된 의미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자세히 밝혔다. 의미 대조에서도 문법적 속성과 같이 축소형이 주요한 변화 방향이었다.
漢字在韓國的語言發展史上占有舉足輕重的地位,是韓國語詞匯系統的重要組成部分。以漢字為基礎的漢字詞占韓國語總詞匯的70%以上,韩语论文范文,而且其中的大部分詞匯在文法和意義上輿漢...
漢字在韓國的語言發展史上占有舉足輕重的地位,是韓國語詞匯系統的重要組成部分。以漢字為基礎的漢字詞占韓國語總詞匯的70%以上,而且其中的大部分詞匯在文法和意義上輿漢語有著一定的相關性。但是以漢字詞為基礎的韓國語,經過時間的流逝逐漸的形成了自己獨立的詞匯系統。本文以研究‘-하다’為基礎的具有相關關系的267個單音節漢字詞為中心,詳細的對照和分述了中國單音節漢字輿韓國單音節漢字詞在文法和意義使用上的異同。
從文法上對照,韩语论文网站,可將這些詞匯在文法機能上分成3類。分別是具有一個詞性的漢字、同時具有兩個詞性的漢字和具有三個以上詞性的漢字。這些詞匯具有在韓國語中動詞對應動作性語根,形容詞對應形態性語根,名詞對應名詞和慣形詞的一般特征外,在文法機能上的沒有變化的例子也有不少存在的現象.特別是同時具有兩個或兩個以上詞性的漢字中,職能縮小的現象經常發生.在同時具有動詞和形容詞詞性的漢字中,韓國語中大部分傾向于動作性語根,在具有名詞和其他副詞等詞性重復形成的過程中,名詞單一化傾向占的比例較高.這是韓國語在與漢字詞同化和創制過程中所產生的結果.從反面來看,韓國語生成新的詞性的例子沒有發生.雖然有名詞重新分為慣形詞和接詞等例子,那是名詞自主性縮小所形成的現象,只是在用法點上的限制,縮小的方向和原因是相同的。
從意義上對照,可將這些詞匯的變化樣式分為擴大型、縮小型、擴大/縮小型以及同義型四大類,并且在文中給出了這些漢字詞的例句和用法.在意義上的判斷不是憑借著主觀判斷,而是以字典上意義的敘述為中心進行對比和研究.特別是只在韓國語中存在的意義擴大的內容進行詳細的說明.意義的變化也和文法的變化一樣.縮小型是變化的主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