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is to show a efficient way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to consider it as an active speaking strategy for dealing with communication problems. Training for active strategy usage can solve the communicativ...
The purpose of this is to show a efficient way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to consider it as an active speaking strategy for dealing with communication problems. Training for active strategy usage can solve the communicative problems and improve the speaking fluency.
In this point of view, this focuses on 'paraphrase strategy', which suggests learner's positive intention of problem-solving based on target language, and I propound a way of activating this strategy by vocabulary education. In chapter 1, I describe the main purpose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n chapter 2, several fundamental concepts in former studies are reviewed, and I redefine them in much precise point of view. Firstly, I use the term "unfamiliar word" not in the sense of receptive manners in reading situation, but also in the sense of productive manners in speaking situation, which means the learners have the concept of a certain word in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in the second language. Secondly, the term "activation" can be defined as a process of active use of words in productive way through a kind of stimulus exercises. In this , this concept is applied to the use of strategies as well as words. Thirdly, the meaning of the term "error" i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However, unlike general standpoint, I take the point that there can be a positive errors, which are made in the process of paraphrasing, and I argue that even mistakes should be observed as errors if they occurs repeatedly.
Chapter 3 pres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procedure of experiments, showing the significant meaning of experimental researches. In this study, most research data are collected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studies, avoiding controlled experiments. Though the controlled experiment can show exact interactions of cause and effect, the outside classroom situation may not reflect the classroom authenticity.
Chapter 4 shows four significant explanations as a result of various surveys, observation studies, and experimental researches. Firstly, students use different ways in handling unfamiliar words in mother tongue and second language situation. This is an important fact to stress, because the consideration of word learning in mother language provides crucial ideas for efficient word learning methods in second language.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dealing with unfamiliar words suggests us that the word learning plan should be different in each situation. Secondly, the errors shows the patterns and causes of language use failure in two cases; errors in using learned words and errors in processing unfamiliar words. To analyze the patterns and causes of word errors, I collected variety of errors occurred in writing assignments from malay students for one year and classified them. I longitudinally accumulated error data and compiled statistics of them. Thirdly, I described the speak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provided an account of Korean teachers' attitude towards them. Lastly, I introduced the results from experiment about word memory duration to offer an ideas to increase the duration.
In chapter 5,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are summariz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to make a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I suggested efficient methods to present words, especially the unfamiliar ones, and offered effective word lesson plans to activate the learners ac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Chapter 6 summarizes ideas of this study and proposes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 firmly believe that this study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speaking strategy activation through word education and further consideration on this subject will make it progress in developmental wa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 상황을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어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것...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 상황을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어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말하기의 여러 가지 유형 중에 상호 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의 활성화를 다룬다. 말하기 전략에 대한 분류 및 유형화는 학자마다 다양하나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하기 전략 중 능동적인 전략 사용에 가치를 둔다. 능동적 전략 사용의 훈련을 통해 의사소통의 단절을 막고 말하기 유창 성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제2 언어 학습자의 적극적인 문제 해결 의지를 담고 있는 능동적 전략이며 목표 어에 근거한 전략인 ‘풀어 말하기’를 중심으로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풀어 말하기’ 전략 사용 훈련은 습득 어휘의 한계에서 오는 어휘 부족 현상을 해결하여 의사소통의 단절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습득 어휘에 대한 반복적인 자극으로 ‘어휘 활성화’ 효과를 가져 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1장에서는 본고 연구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본고에서 사용하는 주요 개념이 기존 연구의 관점과 다른 점을 기술하였다. ‘낯선 어휘’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는 읽기 기능과 관련된 수용적인 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인 데 반해 본고에서는 이에 국한하지 않고 발화 생산적인 측면에서 모국어로 개념은 있으나 제2 언어의 어휘는 공백인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활성화’라는 용어는 수용적으로만 인지 가능한 어휘가 생산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자극 훈련을 통한 능동적 사용을 이르는 말로 정의하였다. ‘활성화’의 개념을 전략 사용에까지 넓혀 알고 있는 전략을 실제 사용에 이르게 하는 자극 훈련을 통한 사용을 이르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오류’라는 용어의 의미는 기존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풀어 말하기를 통해 양산되는 오류를 부정적인 결과물로만 보지 않고 긍정적인 오류도 있을 수 있다는 관점을 택하였으며 실수라 하더라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오류’ 범주에 넣어 관찰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본고의 주요한 연구 방법론과 실험 절차를 소개하여 본고의 실험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있다. 본고는 인위적인 실험을 피하고 대부분 관찰 연구와 면접 조사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실험 연구가 인과 관계를 분명히 밝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인위적인 교실 밖 실험이 교실 환경의 실제 성을 무시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 학기 동안 교실 내 실험을 할 경우 긍정적인 효과를 자신하더라도 자칫 실험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이 피해를 보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4장에서는 본고에서 수행한 여러 가지 설문 조사와 관찰 연구, 실험 연구의 결과를 네 가지로 묶어 소개하고 있다. 첫째는 모어와 제2 언어에서 낯선 어휘를 처리하는 방식의 차이를 보였다. 모어의 어휘 학습 기제 및 저장 방식을 아는 것은 제2 언어의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모어의 어휘 학습에 대한 고찰은 제2 언어 어휘 학습에 많은 힌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낯선 어휘를 처리하는 방식에서 보여 주는 차이는 모어의 어휘 학습과 제2 언어의 어휘 학습 방안이 달라야 함을 보여 준다. 둘째는 제2 언어 사용 실패 양상과 원인 등을 밝히기 위해 습득 어휘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와 낯선 어휘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생성을 고찰하였다. 어휘 오류의 유형 및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오류 수집과 분류를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종단적인 오류 자료 입력 및 통계를 통한 어휘 오류 율 비교를 실시하였다. 어휘 오류 율의 변화는 언어권에 무관하게 일정한 방향을 보이는지, 언어권이 오류 율의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자 말레이시아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1년여 기간의 쓰기 숙제 오류를 입력 분석하였다. 셋째는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과 한국어 교사들의 말하기 전략 사용에 대한 평가 태도 등을 기술하였다. 끝으로 어휘 기억 지 속도에 대한 실험 결과를 소개하여 어휘 기억 지 속도를 높이기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과 관찰을 통해 얻은 결과가 한국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정리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얻어진 작은 결론들을 엮어 낯선 어휘 처리에 효과적인 어휘 교수를 위한 어휘 제시 방안을 소개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습자의 능동적 해결 의지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적 전략 사용 훈련을 위한 수업 활동 및 말하기 전략 활성화를 위한 어휘 교안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본고에서 밝히고 있는 효과적인 어휘 교육 방안의 효과를 종단적인 연구로 증명해 낼 때 본고의 논의가 더욱 공고해질 수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