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aims to develop a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Due to the different origins of the two languages, I chose to examine their causative constructions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This thesis aims to develop a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Due to the different origins of the two languages, I chose to examine their causative constructions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The idea of focusing the attention on the causative constructions comes from a personal experience finding difficulties expressing and using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language, occurred during my course of study Korean language.
The work is divided into four main sections. The first chapter sh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methods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causative constructions. The concept of causative is provided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Causative constructions is an expression where the causer causing or forcing causee to perform an action or to be in a certain condition. Causative constructions can be found in all languages in the world, nevertheless they have different ways to express causation. Although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have different sentence structure and word-order, they employ the same ways or types in causative constructions, namely syntactic causative, morphological causative and lexical causative.
The third chapt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and contrasting each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s in both languages using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Since Korean and Indonesian belong to the family of Agglutinative languages, in both languages morphological causative is the most productive type of causative constructions. However, while in Korean language morphological causatives can be derived from all verbs (transitive and intransitive), in Indonesian language morphological causatives can be derived only from intransitive. Yet, despite the difference of sentence structure of both languages, we still can find many common points of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s causative constructions in syntactic or semantic structures.
The fourth chapter analyzes ‘Causativ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ers used in three universities in Korea. In this chapter I also expressed my personal ideas about the effective ways of teaching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language to Indonesian learner, based on the result of contrastive analysis of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This contrastive study of causative construction in Korean and Indonesian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Indonesian who’s learning Korean and also for Korean who’s learning Indonesian as well.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사동법을 대조 분석하여 두 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사동법의 실현 방법을 비롯하여 사동...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사동법을 대조 분석하여 두 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사동법의 실현 방법을 비롯하여 사동문의 통사적 구성과 구성요소, 그리고 의미 관계 측면에 있어서 두 언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사동의 개념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계통적, 지리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언어들을 토대로 사동법이라는 문법 범주에 대한 일반적인 함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각 사동법의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두 언어의 사동법의 유형을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에서는 사동이 일반적으로 통사적, 형태적, 그리고 어휘적 방법으로 실현된다. 두 언어는 같은 교착어에 속함으로써 사동의 실현 방법 중 형태적 사동법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다. 한국어 통사적 사동법은 ‘-게 하다’를 붙여서 사동표현을 하는 방법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사동사, 즉 사동 접사인 ‘-이-, -히-, -리-, -기-, -우-, -구-, -추-’를 결합한 동사에 의한 사동법이다. 어휘적 사동법은 ‘시키다, 조종하다, 보내다, 주다/끼치다’ 등과 같은 사동의 의미를 갖는 동사에 의해 사동을 실현하는 방법이다. 한편, 인도네시아어 통사적 사동법은 ‘mem-buat’(만들다), ‘meny-(s)uruh’(명령하다), ‘mem-bikin’ (만들다) 등과 같은 동사를 사용하여 사동 표현을 실현하는 방법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사동 접사, 즉 ‘-kan’ 접미사, ‘-i’ 접미사, ‘per-’ 접두사, ‘per-kan’ 양분접사, ‘per-i’ 양분접사에 의한 사동법이다. 어휘적 사동법은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동사에 의해 사동을 실현하는 방법이고 그러한 동사는 다른 사동 동사보다 양이 비교적 적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에서는 형태적 사동법을 구성할 때, 사동 접사와 결합하는 데 불규칙적이고 제약도 많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인도네시아어에서는 한국어처럼 조사와 같은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는 것도 없기 때문에 사동문을 구성하는 문법적인 요소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동문의 부정문 구성, 부사어의 수식 범위, 중복 사동 등 통사론적 특성에 있어서 두 언어는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사동문의 직접성/간접성, 그리고 사동주나 피사동주의 의도성, 즉 사동문의 의미론적 유형에 있어서는 차이점과 공통점이 함께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사동법을 대조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습자, 특히 인도네시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동법에 대한 교육을 좀더 효과적이며 내실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인도네시아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그리고 한국인 학습자의 인도네시아어 교육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