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간 교실 상호작용 중 모국어 배경이 동일한 학습자 간 교실 구두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간 교실 상호작용 중 모국어 배경이 동일한 학습자 간 교실 구두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4장)와 교실 관찰을 통해 의미협상 양상을 분석한 연구(5장)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4장에서는 모국어 배경이 동일한 학습자 간 구두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법을 통해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한 후, 성취도 검사 결과와 상관 분석하였으나, 두 차례에 걸친 실험을 통해서도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찾을 수는 없었다. 그러나 요인분석을 통해 성취도 점수가 높은 집단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들이 교실 상호작용에서 모국어를 많이 사용하며, 동일 모어 학습자 간 교실 상호작용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일 모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기존의 논의들의 가장 큰 이유가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과 관련이 있었기에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곧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이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며, 학습자의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성취도에 도달하는 데 유리하다는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5장에서는 실제 교실 관찰을 통해 동일 모어 학습자 간 교실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목표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모국어 배경이 동일한 학습자로 구성된 국내의 학급과 국외의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각 3차시에 걸쳐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의미 협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신호어와 반응어가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였고, 학습자들의 대화에서 나타난 의미 협상의 실패를 따로 분석하여 혼용화 및 화석화의 가능성을 제고해 보았으며,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있어 각기 다른 특성을 보였던 학급들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5장의 연구결과 동일 모어 학습자 간 교실 구두 상호작용에서도 신호어와 반응어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의미 협상 과정은 발화 참여자의 목표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특정 주요 국가의 국내 유학생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국외의 한국어 교육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는 추세를 감안했을 때, 동일 모어 배경 학습자 간 교실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분야는 앞으로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더욱 관심을 갖고 연구되어 효과적인 교육에의 적용이 고안되어야 할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discovering the effects of spoken classroom interaction among students of the same background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its impact on the advancement of Korean skill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stud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discovering the effects of spoken classroom interaction among students of the same background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its impact on the advancement of Korean skill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students’ perception level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levels of achievement (Chapter 4), along with the negotiation of meaning analysis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Chapter 5).
In chapter 4, an opinion survey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erbal classroom interactions between the shared native language students. Even after the second round of this process, no linear correlation could be found to affect the students’ level of performance. However,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oups with more native language interactions scored higher and that the students also had a very positive attitude about the method. This result requires some attention since traditional views have cited the use of the mother language in the classroom as the largest learning block. This suggests a new possibility for using native language interactions as an aid for improving Korean skills and also makes a point of benefitting the students with a positive outlook and thus, higher accomplishments.
Chapter 5 contains real classroom observations to verify whether the native language interactions can serve in improving the target language. Over a period of three observations, students of the same mother language were grouped and studied under a domestic and a foreign subject class. Indicator and response patterns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whether active negotiations of meaning took place. In cases of failure, further scrutiny took place by compar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s from each class in order to discover possible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Chapter 5 shows a variety of indicators and responses occurring in the environment and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active participants in negotiation of meaning can derive positive benefits from the process.
Considering the gradual increase in foreign students from certain key countries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Korean education overseas as well, the objectiv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f tremendous value. Therefore, more interest and awareness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sector will be necessary for further research in finding effective application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